Page 57 - 스크린인쇄기술정보지-5월호_전자책
P. 57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monitor and RBG Device ICC Profiles








                 하드웨어 한계 현실적인 제약

               가시 색상 전부를 표현할 수 있는 장치는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항상 제한사항이 따른다.
               ❶ 모니터 색역 제한 고급 모니터도 ProPhoto RGB 전체를 표현하지는 못함

               ❷  프린터 색역 제한 CMYK 프린터는 RGB보다 색 표현 범위가 좁음
               ❸ 장치 간 차이 동일 모델이라도 색 표현에 미세한 차이가 있으므로 개별 보정이 필요



               소프트웨어 호환성 취약한 연결 고리

               ❶ 일관되지 않은 컬러 매니지먼트 일부 소프트웨어는 프로파일을 무시하거나 잘못 적용
               ❷ 프로파일 지원 부족 일부 앱은 특정 프로파일을 지원하지 않음

               ❸ 웹 브라우저 브라우저마다 색상 처리가 달라 웹 콘텐츠의 색상이 달라질 수 있음

               결론 컬러 매니지먼트라는 여정

               컬러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디지털 이미징과 인쇄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sRGB, Adobe RGB, ECIRGB v2, ProPhoto RGB, DCI P3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작업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요약


                            • 모니터를 정기적으로 보정하고 적절한 프로파일을 사용하라.

                            • 고급 모니터는 색역 전체를 활용한 맞춤 프로파일이 좋다

                            • 색 공간의 장단점을 이해한다.

                            • 작업 전반에 걸쳐 일관된 컬러 매니지먼트를 유지한다.

                            •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컬러 처리 능력을 파악한다.


                            • 소프트 프루핑을 활용해 출력물 색상을 사전에 예측한다.





               컬러 매니지먼트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새로운 기술과 정보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복잡한 문제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이 모든 것을 숙지하고 적용한다면, 다양한 매체와 장치에서 일관된 색상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 더 높은 품질의 작업물과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The article has been provided by FESPA (www.fespa.com) and translated by SPAK, and unauthorized use is prohibited.


                                                                                                May  2025 •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