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스크린인쇄기술정보지-7월호_전자책
P. 31

협회동정











                                                                                              06.24–25














































                  3강 : 스크린 제판 (박봉찬 강사)


                  3일 차 수업은 스크린 제판을 주제로 제판에 필요한 준비물, 망사 및 견장, 유제 도포 및 현상에 대한 이론 수
                  업이 먼저 진행되었다. 제판에 필요한 기본 준비물은 망사, 망사를 고정할 프레임, 고정에 사용되는 본드 또는
                  스템플러, 유제(감광액), 바게트, 분무기, 원고가 있다. 망사는 1인치 정사각형 안에 들어가는 실의 개수를 단
                  위로 30목에서부터 508목의 폴리에스탈 또는 나일론 재질을 많이 사용한다. 망사의 재질과 목수 선택은 제
                  품의 종류와 인쇄 이미지에 따라 달라진다. 망사를 구성하는 실과 실 사이의 공간을 오프닝(눈)이라고 부르는
                  데 실의 두께와 목수에 따라 오프닝의 크기도 바뀐다. 오프닝이 작을수록 잉크가 덜 침투하기에 색상의 채도
                  에 영향이 있고, 오프닝이 클수록 잉크는 잘 침투하지만, 섬세한 표현력은 떨어진다.
                  망사가 균일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제판 제작 시 텐션 측정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제판 과정에서 망사 위에 프
                  레임을 22.5° 기울여 놓는 이유는 이미지의 계단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섬세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

                  다. 또는 감광 전 이미지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감광액을 제판의 양면에 바르는 순서에 따라 잉크의
                  두께에 영향을 미친다. 이론 수업 후, 교육생들이 직접 제판의 전 과정(망사 고정, 감광액 도포, 제판 건조)을
                  실습해 보았다. 이날 제작된 제판은 마지막 실습일에 에코백에 인쇄가 된다.


                                                                                                July  2025 •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