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나무같은 돌, 돌 같은 나무, 자연과 함께 자연과 더불어 생태계 회복을 꿈꾸는 우드톤입니다.
P. 11

21세기형 블록의 개요 (槪要)









           ✓ 생태복원 블럭


            • 사암 특성의 하나인 높은 지하수의 유동과 부존으로 빗물의 자연순환 및 생태복원 효과































                      서울시 1962년 (도시화 이전)                                     서울시 2004년 (도시화 이후)



        말라가는 도시의 하천

        도심의 하천에 물이 흐르지 않고 말라가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서울의 대부분의 땅이
        콘크리트와 시멘트로 되어있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아 지하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천의 건천화를 막기위해서는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게 해야 한다.  콘크리트 인공구조물을

        세우는 대신에 맑은 물을 만드는데 돈을 써야 진짜 맑은 하천이 될 수 있지 않을까?하천변에
        시멘트와 우레탄으로 포장된 것들을 대부분 물이 스며들 수 있는 포장재로 변경해야 한다..



          참조 : 땅 속에 스며든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야 생테하천이 산다. – 최종 업데이트 10.07.22 20:15l녹색연합(greenkorea)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