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전시가이드 2025년 07월 - 이북용
P. 93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2025 제주국제아트페어
국내외 현대미술의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2025 제주국제아트페어(Jeju International Art
Fair, JIAF)가 오는 7월 3일부터 6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JCC)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제주국제아트페어는 ‘Great JEJU Great ART’를 주제로 제주의 자연과 예술이 세계 미술시장
과 만나는 교류의 장으로 국내외 45개 갤러리가 참여해 현대미술 작품들을 선보이며, 특히, 올해 아
트페어를 대표하는 세 가지 주요 프로그램이 눈길을 끈다. 첫 째로 〈FUTURE CANVAS〉 특별전은 만
39세 이하의 청년작가 및 개인전 3회 미만의 신진작가들을 발굴·지원하는 전시로, 차세대 미술시장
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장이다. 두 번째, 〈Great JEJU Great Art〉 특별전은 제주의 중견 및 원로
작가들이 걸어온 예술 여정을 조명하고 지역 미술의 깊이를 되새기는 의미 있는 전시이다. 세 번재
〈JEJU with Contemporary Art〉 아트스쿨은 국내외 기획자, 평론가, 연구자, 작가 등 다양한 분야 전
문가들이 참여해 동시대 미술의 흐름과 전망을 함께 탐구하는 지식 공유의 장이다. 이외에도 다양한
이벤트와 부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제주국제아트페어는 예술을 매개로 한 지역문화 교류와 글로
벌 네트워크 형성의 중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T.064-752-1112)
▶
손끝으로 만나는 미술관 AI와 예술을 말하다 갤러리 및 미술관 소식
경기도 수원 한국문화예술위 ▶ 유갤러리 이전
시립미술관( 원회는 생성형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동 391, DMC 플랙스데
관장 남기민) 인공지능(AI)의 시앙으로 이전하였다. (T.02-6053-5683)
은 ‘모두에게 급속한 발전과
열린 미술관’ 이에 따른 사회 ▶ 모모아트스페이스(관장 심성규)
을 지향하며 적 변화에 대응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충신로 294번길 31
시각장애인과 하고자 온라인 (T.031-772-3579)
비장애인도 라운드테이블 <예술잡多(다): AI와 예술을 말하다>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점자안내문 『손끝 전시 해설집』 개최하였다. 라운드테이블은 총 2부로, 1부에서는 “AI ▶ 홍대 아트베이커리 갤러리 작가공모
을 제작했다.전시 해설집은 점자 및 묵자, UV 촉각 그 와 예술가의 공존 – 예술창작의 미래를 묻다” 주제로, 홍대 아트베이커리 갤러리는 2025년 하반기 전시
림 등과 함께 큰 글씨 한글과 쉬운 전시 해설도 포함하 예술가와 기술 전문가가 함께 예술의 본질과 AI의 가 를 '창작을 굽는 일상예술공간' 아트베이커리 갤러
고 있어 점자 사용은 필요 없으나 큰 글자나 쉬운 해설 능성을 성찰했다. 2부에서는 “생성형 AI와 저작권 – 공 리와 함께할 작가들을 모집한다. 공모대상은 개인
이 필요한 관람객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또한, 공지원과 창작의 경계”를 주제로, 법률 및 정책 분야 전 및 단체전 계획중인 작가 또는 단체로 모집분야
전시 안내도 및 미술관 주요 시설 정보도 함께 담아 관 전문가과 함께 공공지원 체계와 저작권의 새로운 기 는 회화, 사진, 미디어아트 등 모든예술분야로 지
람 전시 동선 전반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주요 작품 준을 진단하고 향후 방향을 제시했다. 향후 아르코 원사항은 개인전 50% 지원, 단체전 40%지원, 인
은 촉각 요소를 통해 손끝으로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 (ARKO)는 APE Camp(에이프캠프) 등 청년 예술가 대 스타그램 광고 및 sns홍보, 외부 배너 2종 제작지
어 시각장애인들도 전시 작품의 분위기와 메시지를 상 프로그램을 통해 AI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접 원 전시활동증명서 발급 중이며 접수는 8월 31일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해설자료 안에는 QR코드 근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AI 활용 창작물의 공공 까지이다. (inktr.ee/artbakery_gallery)
를 통해 보는 작가 인터뷰 영상도 연계되어 있어 다양 지원 기준을 포함한 예술지원 가이드라인 정비에도
한 감각을 활용하도록 유도하였다.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라운드테이블 영상은 아 ▶ 구스갤러리 이전
(T.031-228-4179) 르코 공식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 경기도 부천시 신흥로 150-1 위브더스테이트상
com/@arkokorea), 인문360° 플랫폼(https://in- 가 8단지 220호로 이전하였다.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 중국 순 mun360.culture.go.kr/)을 통해 순차 공개된다. T.010-4543-9130
회전 개최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 나고 드는 땅, 만경과 동진 개최 ▶ 월간 전시가이드(주)인크라트) 이전
장 김성희)과 중국미술관 국립전주박물관은 2025년 특별 전시가이드가 중구 동호로로 이전하였다.
(NAMOC, 관장 우웨이산)은 전 <나고 드는 땅, 만경과 동진> 서울시 중구 동호로 27길 25, 2층 (CU편의점건물)
2024년 덕수궁관에서 성공 을 오는 10월 12일까지 개최한 (T.02-2275-2999)
적으로 개최된 《수묵별미(水 다. 만경과 동진으로 대표되는
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 전북 지역의 고대 문화교류를 조
의 중국 순회전을 베이징 중 명하며, 고고학 성과를 바탕으로
국미술관에서 8월 11일(월) 지역의 역사적 위상을 되새기는
뉴스 및 공모전 정보제공
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전시이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
한·중 양국을 대표하는 수묵 되며, 전북의 자연환경 속에서 전시가이드는 미술, 공예, 사진, 서예 등
미술관련 소식지로 전국 갤러리의 전시일정 및
예술 작품을 나란히 놓음으로서 전통에서 현대로 이 이루어진 문화적 접촉, 융화, 충돌, 교역 등 다양한 교
미리보는 전시 등을 게재합니다.
어지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양국 수묵 예술의 독자적 류의 층위를 구체적인 유물과 자료를 통해 풀어낸다. 각지역 단체 및 학교, 협회 등에서 진행하는 공모전 소식이나
발전 과정을 자연스럽게 조망하며, 동아시아 회화의 초기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전북이 어떻게 문화 갤러리소식 등 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오늘을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는 학술적 장이 될 것으 의 통로이자 중심지로 기능했는지를 입체적으로 보여 뉴스 및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매월 15일까지 crart1004@hanmail.net
로도 기대된다. (T.02-2022-0600) 주는 이번 특별전은 바다와 강, 평야와 고원이 만나는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독특한 지형을 바탕으로 전북이 변방이 아닌 동아시 (T.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아 교류의 중심지이자 핵심이었음을 강조한다. Tel. 02)2275-2999
(T.063-220-1029)
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