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전시가이드 2025년 06월 이북용
P. 31

풍요로운 잔치 1, 116.8x55cm, 벨벳에 아크릭








            성을 통찰함으로써 사군자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문인정신을 공고히 하고 궁         릴적 꿈에서 많은 사람들이 감상하고 함께 공감 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 싶
            극적으로 군자의 덕성을 이루는 과정으로 삼고 있다. 사군자의 연결선상에서        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어 서예에서 문인화로 이어지는 연장선에서 자연스
            호박, 호박꽃이라는 대상의 외형적 아름다움을 심미적으로 해부하고 짖은 감        레 그림을 시작 하게 된다.
            성적 행복의 느낌으로 겸허히 수용한다. 근작 ‘풍요로운 잔치 1’. (벨벳에 아크
            릭. 116.8x55)에서 나타나듯 호박과 매화가 벨벳의 천위에 아크릴릭으로 채    시,서,화의 필요조건을 갖추었기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림을 그리는 인정받
            색되어 현대적 감각으로 재탄생되는 회화적 감성의 행복함이 느껴진다. 절제        는 화제의 작가가 되는 유년기의 꿈을 가졌었으며 현재 그 꿈의 실현을 위해
            된 필선에서 나타나는 고결함과 현대적 채료(彩料)의 맑은 기품이 사군자의        국내는 물론,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 강의 및 전시로 우리 전통문인화의 정신
            정신을 이루는 생태적 속성을 내재 한채 문인정신의 진정성있는 도덕적 인격        과 그림을 알리는데 열정을 다 하고 있다. 최근 작업의 모티브로 삼아 그리고
            완성을 이루고 있다.                                     있는 호박과 그 꽃은 우연히 작가의 붓끝에서 그려진 호박의 모습에서 심리
                                                            적 평안함을 느꼈고 그림 그리는 내내 몰입할 수 있어 최근 연작으로 천착해
            “이지향의 작품세계는 격물치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나가고 있다. 작품 활동과 더불어 현시대의 흐름에 따라 수묵의 필선에만 의
            거쳐, 이제는 그 뜻을 바르게 다듬고 유지하는 성의(誠意), 정심(正心)의 단계    존 하지 않고 임천이지향의 이름을 걸고 유튜브를 제작하여 문인화의 기초 필
            에 있다고 여겨진다. 더 나아가 자신을 통제하는 능력과, 한 가정을 이루고       법부터 시작하여 운필의 테크닉을 공개강좌하고 있다. 시간이 되는 대로 직접
            부모로서 집안을 평안하게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수신제가(修身齊家)를 이         학교에서 강의도 하고 시간과 거리로 인하여 직접 만나지 못하는 대중들과의
            룬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오랜 시간 사물을 심미대상으로 바라보며 군       소통을 이루며 그림을 그리고 생활에 활용하는 방법을 온라인을 통해서 공유
            자의 덕성을 닮고자 노력한 한 사람의 문인화가가 이룰 수 있는 최상의 단        하고 있다. 이지향은 본인이 문인화에 입문하여 겪었던 어려웠던 교육환경을
            계일 것이다.”                                        경험했기에 후학을 위하여 사군자의 필법을 소개하는 난, 대나무, 매화편까지
                                                   - 변종필(제주시립미술관장) . 이지향 전시서문중-  모두 3년에 걸쳐 ‘문인화 길잡이’를 출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인화 전승에 쏟
                                                            은 한 화가의 진정성있는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문인화가 임천 이지향은 원말 4대가의 수묵산수에서 부터 이어져 현대에 이
            르기 까지 문인사상의 근원을 탐구하며 사군자로 오랜기간 수련을 하였다. 유
            년기부터 서예를 익혀왔기에 서예를 기본으로 한 기본필력이 탄탄히 다져진         참고자료---------------------------------------------------------------------
            문인화의 기개는 강약이 적시에 나타나는 빈틈없는 운필에서 나타난다. 유년
            기부터 수련해온 서예운필이 문인화의 세계에 입문하면서 뿌리 깊은 기초를         김재덕, 월간전시가이드 2023.09
                                                            변종필(제주시립미술관장), 이지향 전시서문(담백한 시상(詩想)과 청아한 삶의 합일)
            자연스레 가지게 되었으며 회화적 감각이 더해져 천착하고자 하는 문인정신
                                                            네이버 지식백과. 문인화. https://ko.wikipedia.org/wiki/
            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었음일 것이다. 소녀 이지향은 대문호가 되고 싶었던 어       이다지 한국사 : 전근대 편, 2015. 12. 11. 민화 - 백성들, 다양한 소재를 익살스럽게 그리다

                                                                                                       29
                                                                                                       29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