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5 - Do 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C 언어, 3쇄)
P. 275

정수의 집합처럼 원소의 개수가 무한한 집합을 무한집합이라 하고 이와 달리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집합을 유한집합이라고 합니다. 유한집합 X(원소의 개수 n), 무한집합 Y는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n(X) = n              X는 유한집합(원소의 개수 n)
                         n(Y) = ∞              Y는 무한집합



                        집합은 ‘어떤 것’의 모임이라고 처음에 설명했습니다. 한글로 ‘모임’은 ‘2개 이상’이라는 복수
                        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사실 원소 개수가 1개(n(X) = 1)여도 집합입니다. 또 원소가 없는

                        X(n(X) = 0)도 집합입니다. 이렇게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은 ‘공집합(empty set)’이라고 하며
                        ‘∅(파이)’라는 기호로 표기합니다.



                        부분집합과 진부분집합

                        다른 집합에 포함된 집합은 부분집합 또는 진부분집합이라고 합니다.



                        부분집합
                        예를 들어 A = {1, 3}, B = {1, 3, 5}와 같이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의 원소이면 A는 B의
                        부분집합(subset)이고 ‘A는 B에 포함된다.’라고 말하며 다음과 같이 표기합니다.


                         A⊂B 또는 B⊃A            A는 B에 포함된다.



                        또 A = {1, 3, 5}, B = {1, 3, 5}와 같이 A와 B가 서로 같은 경우 A와 B는 서로 부분집합 관계가

                        됩니다(A⊂B이면서 B⊂A).


                                                A는 B에 포함됩니다.
                                                            이 경우는 A와 B가 같은 경우입니다.

                        A⊂B              B
                                                                  A
                                     A
                                                                       B
                                                                          ‘A⊂B이면서 B⊂A’라고
                                                                          표기합니다.

                                                  [그림 7-2] 부분집합




                                                                                          07•집합  275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