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 - 수영만45_5A9_6C10_7D3
P. 2
Unit 1 Sour Grapes Defense

Background Knowledge

<자기 방어 (ego defense)>

„굶주린 여우가 길을 가다가 포도를 발견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
포도는 너무 위쪽에 달려 있어 여우의 손길이 닿지 않았다. 여우는 포
도를 따기 위해 수십 번 시도를 했지만 모두가 헛일이었다. 마침내 포
도를 포기한 여우는 “저건 분명 신포도일 거야”라고 중얼거리며 가던
길을 갔다.‟ 이솝우화(寓話)에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 얘기다.

이 우화는 포도를 따 먹고 싶었지만, 이를 이루지 못하자 마치 그 포
도가 신포도라서 안 따먹는 것처럼 자기를 합리화하는 여우의 심리를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행동을 두고 심리학에서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
해 자기합리화라는 방어기제(Mechanism)가 발동했다고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바라는 욕구가 있으나 원만히 해결되지 않는 상황에서 나타난다.
이렇듯 자기 방어란 충동이나 감정으로 일어나는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역할을 하는 정
신적 속성이다. 흔히 방어기제로 표현된다. 방어기제에 대한 최초의 연구자인 프로이드(S.
Freud)에 따르면 자기 방어는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들 간의 타협, 혹은 좌절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내적 갈등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정신적 조작이다. 방어기제는 본능과 자아간의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이나 감정을 참거나 조절하는 수단으로 발달하는데, 방어기제를 발달시키는
동기는 다양하다.

① 자아가 본능이 위험한 것으로 믿을 때 생겨나는 불안,
② 자아의 불안 때문에 생겨나는 죄책감,
③ 자아가 충동을 거절해야 할 때 또는 충동이 분출되어야 할 때 생겨나는 혐오감,
④ 충동이 거절되지 않으면 쳐다보거나 경멸을 받는다는 두려움 때문에 생겨나는 수치감 등이 있
다.

<이솝 (Aesop)>

이솝(Aesop, 그리스어 이름 Aisopos의 영어식 이름)은 트라케 또는 프뤼기아 출신 전쟁 포로였
던 것으로 전해진다.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에 사모스 사람 이드몬의 노예로
일하다가 훗날 델포이에 있는 아폴론 신전 사제들의 탐욕을 고발한 까닭에 그곳 사람들에게 살해
되었다고 한다.

-2-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