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2 - 메타코칭 리딩 스타트 2
        P. 52
     메타코칭 리딩                                                                                                         씽크맵 START 해설지
                                     -  맵: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을 연결하고 중심에서 확산하며 정리
                메타도식화                - 도식: 내용을 이미지로 표현하고 우뇌를 활용하며 정리
                  배우는  과정은  힘들고  지칠  때가  많다.  공부는  단기간에  노력  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육체적  피로,  정신적  고통이  생기기  쉬울  뿐  아니라,  놀고  싶은  욕구  때문에
               공부가  힘들어지기도  한다.  또한  공부는  우리  스스로  그  필요성을  느꼈다고  하더라도
               올바른  방법을  모르는  경우,  적절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경우,  공부하고자  하는  열정과
               끈기가 부족한 경우에는 원하는 성과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
                  배우는  과정에서  생기는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사람들은  공부  그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갖게  되어  삶에  주는  의미나  기쁨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어린  시절부터  대학을
               인생의  목표로  여기고  입시  공부에  매달렸던  사람은  공부  그  자체의  가치와  즐거움을  알기
               어렵다.  또한  성공만을  위해서  공부는  사람도  진리와  깨달음을  향한  공부의  중요성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공부는  무엇을  알고자  하는  인간의  호기심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새로운  것,  모르는
               것에  대하여  궁금한  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부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간은  공부를  통해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공부란  대부분
               자신에게  모자란다고  느끼는  부분을  채우고자  하는  열망에서  시작된다.  인간은  공부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우며,  이전에는  하지  못했던  것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취감을 누릴 수 있다. 예컨대 한글을 배워 처음으로 책을
               읽게 되었을 때 우리는 자신을 극복했다는 기쁨에 행복했던 적이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공부는  생활에  유용한  지식을  얻게  해  주기도  한다.  음식  조리법을  배워
               친구들을  위해  과자를  구워  주는  것과  같이  공부는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637자)
                                                                                                                                            페이지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