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메타코칭 공토 2025-05 베이직
P. 28

메타코칭 인지훈련                                                                    베이직 2025-05



                                  - 문단 별 중요한 핵심구절에 밑줄치고 요약해 보세요.
                메타분석력             -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고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해 보세요.

                  증기 기관차 미카 (2)



                  마라톤에서  지금과  같이  42.195  킬로미터의  거리를  달리게  된  것은  1908년  제  4회


               런던  올림픽  때부터이다.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에서  하나를

               살펴보기로 하자.

                  당시  올림픽  조직  위원회는  메인  스타디움을  출발점으로  하는  42  킬로미터의

               코스를  설정하였으나,  스포츠를  매우  좋아했던  당시  영국  여왕  알렉산드라가  윈저

               궁의  발코니에  앉아서  선수들의  출발  모습을  보고  싶다하고  해서  출발점을

               윈저궁으로  변경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바뀐  거리가  42.195  킬로미터였고,  그


               이후 이것이 마라톤 경기의 공식 거리로 굳어졌다고 한다.

                  마라톤  코스의  거리는  반드시  42.195  킬로미터여야  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차는

               인정된다. 그 오차는 전체 거리의 1천분의 1, 즉 42 미터다. 그런데 이 오차는 42.195

               킬로미터보다  짧아서는  안  된다.  즉,  1천분의  1의  오차는  허용되지만,  규정  거리보다

               긴  경우에만  인정된다.  42.195  킬로미터보다  단  10센티미터라도  짧으면  공식적으로


               마라톤 코스로 인정받지 못한다. 또 이런 코스를 달린 기록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그 기록은 인정받지 못한다.

                  그렇다면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42.195  킬로미터의  거리를  측정할  때에는

               강철로  만든  줄자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요즈음은  간편한  기계를  사용하기도  한다.

               거리를 측정할 때에는 도로변에서 차도 쪽으로 30센티미터 지점으로 기준으로 삼는다.


                                                                                                   (544자)

















                                                                                                페이지 28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