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메타코칭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1호 해설지
P. 40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1호 해설지
- 문단 별 핵심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절에 밑줄을 긋는다.
탐구독해 - 핵심어에 동그라미를 치고 핵심내용을 단어나 구절로 요약한다.
뿌리의 형태
1 일본은 강화도에 군함을 보내어 위협적인 행동을 하면서 회담을 열자고 하였다. 조선 정부는
일본의 행위를 야만적이고 침략적인 것이라고 비난하면서 그들과 대화하기를 거부하였다.
2 그러나 조선의 일부 관리들은 서양의 과학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찍부터 알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과 통상을 하여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상황 속에서 강화도에 두 나라 대표가 모여 조약을 맺으니, 이것이 강화도 조약이다(1876).
3 강화도 조약은 우리나라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조약에 따라 조선은 세 항구를 개항하고, 개항장의 일정 지역에 일본인이 거주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4 강화도 조약에서는 조선이 자주 국가임을 밝혔지만, 조선에 불리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일본이 조선의 해안을 자유로이 측량하는 것을 허용하고, 치외 법권을 인정하여 일본인들이 조선에
와서도 일본의 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 불평등한 내용의 대표적인 것이다.
5 그 후 조선은 미국, 영국 등 서양 열강과도 차례로 수호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문호 개방을
확대하고, 세계사의 흐름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서양 각국과 맺은 조약도 치외 법권을
인정한 불평등 조약이었다.
(485자)
페이지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