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옛기술과문화 카탈로그 2020
P. 10

천체관측기기                                                                                                                                                                                                 천체관측기기






             소간의(小簡儀, Soganui / Small Simplified Armillary Sphere)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Ilseongjeongsiui
                                                                                                                                                                /     The Sun and Stars Time Determining Instrument)



                   소간의(小簡儀)는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고 시간을 측                                                                                           일성정시의는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주
                  정할 수 있었던 천문관측기기이다. 소간의는 세종 16년                                                                                         야시간측정기이다.  세종대에  의표창제사업(儀表創製事
                  (1434년)에 이천(李蕆), 정초(鄭招), 정인지(鄭麟趾)가                                                                                     業)의 일환으로 대규모의 의기를 제작하고 역서를 편찬
                  제작하여 경복궁 천추전(千秋殿)과 서운관(書雲觀)에 설                                                                                         하였다. 대부분 중국의 의기를 보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치하였다.                                                                                                                  맞게 고쳐 제작하였으나 일성정시의만은 독창적인 창조
                    소간의는 간의보다 크기가 작고 복잡한 여러 기둥을                                                                                          물이다.
                  없애서 더욱 간편하게 만든 천체 관측 기기로 사유환(四                                                                                           일성정시의는 주천도분환(周天度分環), 성구백각환(星
                  遊環), 적도환(赤道環), 백각환(百刻環), 규형(窺衡), 기                                                                                     晷百刻環), 일구백각환(日晷百刻環)의 세 가지 환을 갖
                  둥<柱>과 밑받침<趺>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종 시대                                                                                         고 있는데 성구백각환과, 일구백각환으로 낮과 밤의 시
                  에 독특하게 창제한 유일한 것이다.                                                                                                    간을 측정한다. 당시에는 하루를 백각(百刻)으로 나누어
                    소간의는 적도좌표계와 지평좌표계로 변형하여 사용                                                                                           시간을 측정하였으므로 1각은 현대시간으로 14.4분에
                  할 수 있는 다목적인 관측기기로 적도좌표계로는 오늘                                                                                           해당한다.
                  날의 적경, 적위성분인 입수도(入宿度)와 거극도(去極度)                                                                                          시간측정방법은 환중앙(環中央)에 수직으로 세워진 정
                  를 측정할 수 있고 지평좌표계로 변환하여 고도와 방위                                                                                          극환(定極環)의 양쪽으로 실을 묶고 환(環) 위에 놓인 계
                  를 측정할 수 있다.                                                                                                            형(界衡)의 양끝에 묶는다. 한쪽 실에 그림자를 반대편
                                                                                 국립대구과학관
                                                                                                                                         실에 일치시키고 그때의 눈금을 읽어 시간을 측정한다.                                  국립중앙과학관







             적도의(赤道儀, Jeokdoui / Equatorial Armillary Sphere)




                                                        세종대왕은 세종 14년(1432)부터 우리나라 실정에 맞
                                                       는 역법편찬과 천체관측 및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
                                                       한 종합천문대인 간의대를 설치하였다. 이때 중추적인
                                                       천문관측을  한  것은  간의와  혼천의였으며,  이  기기들
                                                       의 기능 중에서 천체관측 부분만 따로 떼어 내어 후대
                                                       에 제작한 것이 적도의(赤道儀)이다. 적도의는 조선 후
                                                       기 남병길에 의해서 제작되었는데, 이는 세종 시대로부
                                                       터 꾸준히 변화 발전해 온 혼천의와 간의를 충분히 검토
                                                       하고 연구한 끝에 만들어 내었던 가장 손쉽고, 편리하게
                                                       관측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기이다.
                                                        그러나 세종대 제작한 천문기기가 그랬듯이, 당시의 적
                                                       도의 또한 문헌만이 남아 있으며, 현존하는 유물이나 부
                                                       품마저도 남아 있지 않은 형편이다. 다행히도 『성경(星
                                                                                                                                                                                           - 현재 영릉에 전시되어 있는 일성정시의는 1997년
                                                       鏡)』에 적도의 그림이 남아 있어서 이 그림과 문헌을 바
                                                                                                                                                                                           에 본 업체에서 최초 복원하였다. 세계적으로 단 하나
                                                       탕으로 하여 적도의를 연구하여 복원을 위한 설계를 수
                                                                                                                                                                                           뿐이므로 그만큼 가치가 큰 복원품이다. 크기는 기록
                              한국천문연구원                  행할 수가 있었다.
                                                                                                                                                                                           에 나와 있는 일부 부품의 크기를 통하여 연구된 실제
                                                                                                                                                    전라북도과학교육원                              크기이다.

       10                                                                                                                                                                                                                             11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