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 - 이충길 작가_2021년 On-Tact 개인전
P. 3

중첩으로 이어지는 물감의 끈 – 소우주(microcosm)


             • 옛 것 들에서의 향수


             모든 작가는 자신의 작품을 그리기를 원하지만 어떤 상황에서는 고객을 위해 그리기

             도 한다. 주로 경제적 여건이 그렇게 강요할 경우인데 이충길 작가도 그러했다. 운영

             해오던 미술학원의 경영이 악화되어 회생의 경지까지 간 작가는 생활을 위해 인터넷

             미술 경매에 몇 년간 대중적 성격의 서정적 풍경의 작품을 주로 그렸다.

             필자가 작가를 처음 만난 건 2012년 여름이었다. 흰머리 하나 없는 야무진 체구에

             나이보다 10년은 더 젊어 보였고 매사에 꼼꼼하고 열정적이었다. 8년간의 회생

             기간이 끝나가는 2013년 후반부터 작가는 자신의 작품의 변화의 욕구를 강렬하게


             느끼며 한국의 민화적 소재와 전통문양, 예를 들면 호랑이, 십장생, 연꽃 같은 친숙

             한 옛 것들의 소재를 그의 작품에 등장시킨다. 그리고 그는 작품의 제목을 ‘그리움

             (노스탈지아)’이라 붙였다.




             • 만물을 이루는‘끈 이론’을 연상시키는 화법


             인간이 가진 원초적인 의문은 생명의 기원과 우주의 실체에 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작가의 고민은 어떠한 자신만의 정체성(Identity)을 가진 작품을 만들어 내느냐는

             것이다. 이충길 작가는 오래 동안 표현 방법에서 독특한 자신 만의 물감


             짜내기(squeezing) 기법(작가는 ‘주사위 기법’이라 부르지만)을 개발해

             이용한다. 마치 생일 케익 위에 초클릿으로 글을 새기듯이 다양한 굵기의 도구를

             직접 제작해 그 안에 물감을 넣고 짜내듯이 캔바스 위에 중첩으로 드로잉 한다.

             잭슨       블록이          뿌 리기(dropping) 기법을                      이용했다면               이충길 은

             짜내기(squeezing)기법을 개발한 것이다. 무질서(chaos)하게 보이는 실타래

             같은 마티에르(matiere)를 가진 물감들은 색들의 겹침(overlap)으로 새로운

             우주(cosmos)적 구성(composition)을 표출한다. 그의 작품 일부분을 확대해


             보면 우주를 이루는 만물이론의 하나인 ‘끈 이론’(String theory)같이

             진동하는 선으로 이루어진 일정한 패턴들로 구성된 추상화다. 우주의 모든 만물은

             그 구성을 이루는 미세한 분자들로 이루어져 어떤 사물의 모양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작가의 작품에서 나는 우주론을 생각한다.                                     - 박일철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