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박일정 작가 e-book 원고 2022 02 24
P. 11

풀의 노래


            박일정의 작품은 어머니 구덕에서 나왔다

                                                                                            박문종 작가

            갯뻘에 사는 게가 하나 둘 셋 넷... 열일곱 액자 틀에 가                  같다. 괘도 수정이 불가피한 고민이 묻어나는 대목이다.
            득 담겼다, 갯물이 들고난 자리 거기에는 작은 생명들의
            천국이다.                                              게는 결코 옆으로 걷지 않는다.


            게 모시조개 맛조개 망둥어 등등                                  아비가 지식에게 “너는 똑바로 걸어라 나처럼 옆으로 기
                                                               지 말고” 했다지만, 언젠가 그래도 먹고살려면 밥그릇,
            게는 단연 갯뻘의 주인공이다, 작지만 등껍질이 단단한                      찻잔 만들 생각은 없냐는 물음에 그냥 사람 좋게 웃고 마
            갑각류 다리는 큰 집게발 작은 집게발 도합 열 개 모아                     는 것이었다, 그는 일찍이 미술의 기존 틀에서 이탈 독자

            놓으면 소리를 낸다. 마치 외계 생명체의 신호음 같은 쓰                    적인 형식을 택한 것이다. 더 이상 변죽만 울리는 작가가
            스 사 사...                                           아닌 것이다. 그가 바른 것이다. 목포에 가면 째보선창이
                                                               라는 재미나는 조그만 포구가 있다.
            사전적 이름은 칠게라고 하지만 지역마다 부르는 게 각
            각 설농게 라고도 하고 뻘에 서식한다 해서 뻘떡 게다, 봄                   지금은 그 흔적이 희미하지만 북새통을 이룰 때도 있었
            날 보리 피기 시작하면 갯가에 맛 잡고 게 잡고 어머니의                    다. 째보는 입술이 갈라지는 풍토병, 물과 뭍 그 사이 쫙
            구덕에는 세상 소란 거기에 다 있다.                               째진 지점 거기로 드나드는 모든 것들이 통과 의례하는

                                                               결정적 지점인데 작가는 그걸 살갑게 본 듯하다. 작업의
            아이들은 우르르 몰려들고 게들은 집게발을 치켜들고 아                      주 무대로 점찍고 있으니....
            우성 강력 반발한다, 오래전 영산강을 막기 전 풍경이다.
            그런 곳에서 유년을 보낸 작가의 감수성이 잠복기를 거                      박일정은 2018 광주비엔날레 본 전시 작가로 참여하게
            쳐 지금의 작업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되는데 작품 ‘풀다리’(1000x280x200cm. 점토소성,나
                                                               무,  2017~2018)를 내놓는다. 목 나무를 얼기설기 잇데
            그러니까 박일정의 작품은 어머니의 구덕에서 온 것이                       거기에 사람도 태우고 풀도 태우고 나무도 태우고, 온갖
            다. 지평선 넘어 강과 들이 맏 닿은 곳 그는 평지 출신답                   것들이 올라앉았다, 점토로 조물딱 거려 만든 가짜 사람
            게 시선을 낮출 줄 알았고 낮고 하찮은 것들에 대한 작가                    들 색옷을 입고 나래비 섰다. 다리를 건너는 것으로 보

            의 눈은 잔잔하지만 뜨겁다 이에 대한 그의 소회를 들자                     이나 보기에 따라서는 무슨 용무를 보려고 차례로 기다
            면 ‘게나 고동’이라는 말로 압축되는데 풀자면 게나 고동                    리는 사람들 같기도 하고 망자들을 배웅하는 상여 목물
            은 아무나 다가 된다. 작업의 요체인데 촌무지렁이 소시                     들의 행렬 같기도 하고 산 넘고 물 건너 고비고비 인생
            민 어디 사람뿐이랴. 이름 없는 풀 나무 갯가 것들 힘없                    길이다.
            고 가난한 모두를 아우르는 말에 다름 아니라 그걸 바탕
            삼아 마치 변죽을 울리듯 자기 세계를 꾸려왔고 작품은                      어디서 흘러들었을지 모를 목 나무대 한 대목 똑 뙤 ‘째보
            자신의 공간에 대한 현지민의 보고서 같은 성격을 띠고                      선창’(220x40x15cm. 점토소성, 나무. 2019) 지금 성

            있다. 그의 도자는 물을 담지는 않는다.                             완경 선생님 서실 한켠에 걸려 있다, 회색으로 도색한 벽
                                                               그리 높지 않은 자리에 비스듬히 40도 각도로 마치 작가
            즉 용기를 만들지 않는다는 뜻 대학에서 그림을 전공한                      의 비탈길처럼.
            이력으로 봐서 자신의 작업이 회화적이었으면 하는 것                                                     2020.10. 담양에서


                                        P P  A A  R R  K K  I I  L L  J J  E E  U U  N N  G G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