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오산문화 59호
P. 27
2015 VOL. 59 osan culture
오산,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이러한
마을신앙으로 돌아보면 예는 그리 많지는 않으나 화성
시 향남읍 수직리의 경우와 일
오산시의 여러 마을에서는 여 치를 보인다. 1)
느 지역과 차이 없이 음력 시월
에 마을제사를 지내고 있다. 지 오산의 마을신앙에서 특이한 요
곶동이나 세교동 큰말인 홍촌말 소가 발견된다. 이는 당제사에
의 산제사가 구월 그믐날 지내 올려지는 제수(祭需)에서 나타
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 나고 있다. 갈곶동 당제사의 제
는 시월 초하루라 하는 것과 차 물로 낙지가 올라갔다. 그리고
이는 없다. 왜냐하면 그믐의 자 금암동은 닭을 제물로 하면서
정은 초하루의 시작이기도 한 암수를 올렸다.
때문이다. 부산동의 경우 대구포와 가래떡
제의의 명칭에 있어 산제사, 또 으로 용떡을 올렸고 양산동은
는 산신제라 하는 것도 의미와 소의 왼쪽부위만을 올린다는 점
내용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등이다. 이 가운데 부산동에서
아니다. 다만 산신제라고 하면 대구포를 올렸다는 점은 이 곳
산신을 위하는 제의라는 명칭 이 경기재인청의 본거지였다는
이 되고 산제사라고 하면 산에 점과 무관하지 않다. 경기도 도
서 지낸다는 의미의 차이가 있 당굿에서 제물로 대구포를 올린
을 뿐이다. 산신제나 산제사나 다는 점과의 관련성 때문이다.
산신(山神)을 위한 제의인 것만 그리고 용떡을 올린다는 점은
큼은 분명하다. 이 곳에 배가 닿았다는 의미로
오산의 우물제사는 대개 정월보 해석된다.
2)
름에 지낸다. 이 또한 여느 지역 그리고 부산동의 산신제의 절
과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다 차를 보면 오산 인근의 도당굿
탑동 당집
만 탑동의 경우 칠월에 우물제 지곶동당집내부 의 절차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
사를 지냈다는 것은 칠성·제 금암동 당집 도 이러한 추정을 가능하게 하
석신앙과의 관련성을 생각할 수 부산동 당집 고 있다.
1) 김용국, 『구비전승 및 민속자료조사집』3권, 화성시·화성문화원, 2006
2) 김용국, 『오산의 마을신앙』, 오산문화원, 200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