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 제2권
P. 165
163
번호 성명 대주 가주 면적 규모 비고
13 공육례 × ○ 17 초3 대주 : 공귀남 역사
14 공은복 × ○ 14 초3 대주 : 공충성 / 유적
15 공점금 ○ ○ 20 초2
16 공차금 ○ × 13 초4 가주 : 신귀득 · 유물
17 공천금 ○ ○ 21 초8
18 공천립 ○ ○ 8 초3
19 공천석 ○ ○ 41 초4 2채 소유, 1채 장연준에게 대여
20 공충성 ○ ○ 32 초4 대주 : 공만금
초평면의 양안상의 전체 호수는 318호였고, 그 가운데 공씨들은 18호였다. 20명의 주거현황에 따
라 [표 1]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대주(垈主)이자 가주(家主)로서 자기 집에서 살고 있는 자는 공귀남·공만덕·공씨남 등 9명이
다. 공귀남은 대지 16부 2속의 초가 4칸에서 살고 있고, 공만덕은 대지 3부 5속의 초가 4칸에서
살고 있으며, 공씨남은 대지 3부 3속의 초가 3칸에서 살고 있다.
② 다른 사람의 집을 차가하여 사는 가주뿐인 자는 공갑돌·공개불·공경렬 등 9명인데, 공갑돌은
공천금이 소유하고 있는 대지 1부 3속의 초가 3칸을 빌려서 살고 있고, 공개불은 윤성오가 소
유하고 있는 대지 1부 7속의 초가 2칸을 빌려서 살고 있으며, 공경렬은 최대복이 소유하고 있는
대지 1부 4속의 초가 3칸을 빌려서 살고 있다.
③ 다른 사람에게 집을 빌려주고 있는 대주뿐인 자는 공만금·공차금 등 2명이다. 이들은 초평면
에 집을 가지고는 있지만, 그 집에서 살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고 있는 것이다. 즉, 공만
금은 대지 3부 2속의 초가 4칸을 공충성에게 빌려주고 있고, 공차금 역시 대지 1부 3속의 초가
4칸을 신귀득에게 빌려주고 있다.
한편, 공귀남은 초가 2채를 소유하면서 1채[대지 1부 7속의 초가 3칸]는 다른 사람[공육례]에게 빌
려주고 있고, 공충성은 자기 소유의 초가 2채는 다른 사람[공소충성·공은복]에게 빌려주고 정작 자
신은 다른 사람의 집[공만금, 대지 3부 2속의 초가 4칸]을 빌려서 살고 있다. 여기서 공소충성은 공충
성의 동생으로 보이는데 자기 집[대지 2부 3속의 초가 5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충성으로부터 초
가 1채[대지 1부 5속의 초가 4칸]를 빌려서 살고 있다. 또한 공천석은 초가 2채를 소유하면서 1채[대
지 1부 6속의 초가 2칸]는 다른 사람[장연준]에게 빌려주고 있다.
이상에서 주거형태만으로 그들의 경제적 지위를 가늠할 수는 없지만, 조선시대에 초가 3칸 집의 소
유자를 이른바 ‘서민’이라고 속칭했던 것을 감안해 보면 18명의 호주 가운데서 공귀남·공만덕·공소
충성·공씨남·공천금·공천립·공천석·공충성 등 8명은 서민층에 속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초가 8칸의 소유자인 공천금은 ‘부민’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구분은
이들의 주거형태와 토지 소유와 경작형태에 따른 소득을 함께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것
이다. 다음은 공씨 농민들의 토지 소유와 경작 실태를 정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