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9 - B2B All Year Round Vol.8
P. 579
36 37
아주대학교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 지역사회 협업·지원 프로그램
지역사회 혁신지원 프로그램
R&BD 클러스터 조성
아주대학교 특화분야(바이오·헬스케어, 스마트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AI·빅데이터)를 포함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의 공동연구
지역전략산업 및 현안해결사업,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환경정화 봉사활동 등 다양한 지역사회 혁신 프로그램을 촉진 및 인력 양성 교육을 위한 클러스터를 조성합니다.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 간 생산적 산학협력을 만들어갑니다.
핵심기술개발 기술이전·사업화 인력양성 신규고용창출
산업단지 캠퍼스
지역사회 Think-tank 프로그램
산업체 ICC 아주대학교 RCC 지역사회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아이디어 경진대회
종합실험동
청년의 시각으로 도시·사회·환경·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도시문제를 확인해보고 해결방법을 찾아보는 대회. 산학공동연구 협의체·연구회 산학연계교육 재직자/구직자교육
우수 아이디어는 지자체와 연계하여 정책으로 반영
아주대학교 종합실험동
청사진 아이디어톤 • 대학 - 산업체 공동연구 환경 및 창의모의실습장 등 산학협력 활동을 위한 공간 조성
· 위치 : 아주대학교 약학관 뒤편 부지
아주대학교 학생들로 이루어진 협동조합
· 규모 : 연면적 9,915㎡(3,000평)
‘청사진(청년이 그려갈 사회의 진정한 미래)’
- 지하 1층, 지상 9층 규모 - 연구공간: 1,983㎡(600평)
에서 개최하는 무박 2일 아이디어 경진대회.
우수 아이디어는 시제품 개발 지원 및 • 대학 전체 차원의 정책 추진으로, 2021년 완공 예정
정책 연계
• 2020 청사진 아이디어톤 주제: 대학 사업 성과의 사회적 기여 확대
도로교통안전을 위한 아이디어
지역사회에 미치는 산학협력 사업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지역사회 혁신의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갑니다.
지역사회 공헌 프로그램
지역사회 협력 지역사회 공헌 ESI 성과분석
• 대학의 자원을 활용한 지역사회 공헌 사업운영
- 마음백신 프로젝트 1 : 희망 콘서트(아주대학교 동아리 'SOUL' 연계 운영) 지역사회 혁신
- 마음백신 프로젝트 2 : e 편한 라이브 영상(아주대학교 건강영상연구센터 연계 운영) 프로그램
분석
• 전통시장 상인회, 지자체와 공동으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 사회서비스 ThinkTank
• 아주대학교 사회봉사단(AVSC)과 LINC+사업단, 지역사회 산업체(삼성전자 Global EHS)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지역사회 봉사활동 분야별
실적분석
협의체를 구성. 주기적인 지역사회 환경정화 공동 봉사활동 추진 평가
대학 협력기관
사회적 이동성 차세대 인재
개선방안
수립
지역사회 공헌활동
개선
대학의 사회공헌 지수 ‘ESI(Economic Social Impact)’는 사업단이 산학협력을 통해 진행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
하고 평가하여 사업의 성과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사회적 영향을 측정하는 측정도구입니다.
대학생 청년코치단 운영 감염병 극복을 위한 마음백신 프로젝트 진행 아주대-삼성전자 환경정화 봉사활동 아주대학교는, ESI 결과로부터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사업에 반영하여 대학의 산학협력이 지역사회(산업체) 혁신과 발전에
(상표 제작, 레피시 개발지원 등)
지속적으로 기여하도록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