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9 - 전시가이드 2023년 09월 이북
P. 109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청주공예비엔날레,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수상작 발표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위원장 이범석 청주시장, 이하 비엔날레)는 지난달 2일 2023 청주국제
공예공모전 공예공모전 부문 수상작을 발표했다. 총 54개국에서 862명이 접수하며 높은 경쟁률을 기
록한 12번째 청주국제공예공모전 공예공모전 부문에서 영예의 대상을 거머쥔 작품은 금속분야 고혜정
작가의 <The wishes(소원들)>이다. 금상에는 박성훈 작가의 <Void #12>, 은상에는 홍재경 작가의 <
생명, 세상 속으로>와 이태훈 작가의 <달빛 홑씨(Moonlight dandelion seeds>가, 동상에는 김수연 작
가의 <Forest of the stools: late night 03>, 전아현 작가의 <雪深山. Mt.Seorak 40-40-35>, 그리고
스웨덴 Hannah Jarlehed 작가의 <Cosmic Wheel>이 차지했다. 올해의 영아티스트상에는 중국 Gao
Shang 작가의 <Lunar Eclipse of the Valley-Series>가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공예공모전 부문 수상
자들에게는 대상 6,000만원 , 금상 2,000만원, 은상 각 1,000만원, 동상 각 600만원, 영아티스트상
200만원 등의 상금이 수여되며,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는 9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45일간 청주
문화제조창 일원에서 개최된다. (T.043-219-1085)
▶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들 중 일부는 전시 관람 이후 ‘나 도로 마련된 교육 공간에서전시 주제와 작가의 작업 갤러리 및 미술관 소식
전 공예품 만들기’ 프로그램에도 참여하며 한국 전통 방식, 예술세계에 대해 탐구해 볼 수 있는 활동지와 교 ▶갤러리보나르
문화 체험에 큰 관심을 보였다. (T.02-2077-9226) 구재, 룰렛, 뽑기 게임 등이 준비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 한강로 158번길에 갤러
상시 체험 할 수 있다. (T.031-228-4113) 리보나르(대표 이승신)가 위치해 있다.
신진작가 개인전 지원 (T.031-793-7347)
강남장애인복지관에 60년 만에 일본에서 돌아오다! 국립현대미술관,
서는 시각예술분야 장욱진 최초의 <가족> 발굴 및 소장 ▶쌈지안갤러리& 카페
아티스트로서의 첫 국립현대미술관(MMCA, 쌈지길 별관에 위치한 갤러리쌈지안 & 카페는 전
걸음을 함께 할 개인 관장 직무대리 박종달)은 시회를 관람하면서 담소를 나눌수 있는 공간으로
전의 주인공을 찾는 장욱진 최초의 가족도인 쌈지안 홍보물을 지참하면 아메리카노 20% 할인
다. 단체전 1회 이상 1955년작 <가족>을 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T.02-725-3589)
의 경력을 가지고 있 굴해 국립현대미술관의
으며, 개인전 2회 미 소장품으로 수집하는데 ▶보자르갤러리 개관
만의 아티스트 중, 시각예술분야에서 지속적인 작품 성공했다. 1964년 반도 강남구 보자르갤러리(관장 허성미)가 개관하고
활동 계획을 가지고 있는 장애예술인으로 공모분야는 화랑에서 개최된 장욱진 첫 개인전에서 일본인 개인 전시회를 진행중에 있다.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시각예술 중 회화, 판화, 사진..등이며, 접수는 9월 4일 소장가에게 판매된 후 행방을 알 수 없었던 <가족>이 99길 50-2, 1층 (T.010-5743-5662)
까지이다. (T.02-560-8251) 오는 9월 《가장 진지한 고백: 장욱진 회고전》
(2023.9.14.~2024.2.12.)에서 60년 만에 최초 공개된 ▶갤러리가이아 이전
관람객 참여형 프로젝트《별별 수상한___》 개최 다. <가족>은 생전 30여 점 이상의 가족을 그린 장욱 갤러리가이아가 인사동에서 청담동으로 이전하
경기도 수원시립미술 진이 항상 머리맡에 걸어둘 만큼 애착을 가졌던 작품 였다.
관(관장 홍건표)은 창 이자 생애 첫 돈을 받고 판매한 작품이다. 발견된 작품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162길 43 T.02-733-3373
의적이며 실험적인 작 은 평생 가족 이미지를 그린 장욱진 가족도의 전범(典
가의 예술세계를 경험 範)이 되는 그림이자, 최초의 정식 가족도라는 측면에 ▶대전 영아트갤러리 이전
하는 관람객 참여형 프 서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T.02-2022-0600) 대전 영아트갤러리가 이전하였다 대전시 서구 복
로젝트 《별별 수상 수동로 44 대광빌딩 2층 (T.042-582-3410)
한___》을 11월 30일( 2023 노들섬 복합문화공간 신진예술가 전시지
목)까지 수원시립만석전시관 프로젝트스페이스와 교 원 공모 ▶모닝포커스갤러리
육실에서 개최한다. 《별별 수상한___》은 일상의 평범 노들섬은 용산구와 동작구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길49 안녕인사동 408호
한 주제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친숙한 재료를 이용 를 잇는 한강대교에 위치한 (T.02-786-4284)
해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현대미술작가 김민주초원, 복합문화공간으로, ‘노들섬
김소희, 남다현의 작품을 선보이고 연계 교육을 운영 복합문화공간 신진예술가
하는 관람객 참여형 프로젝트로 총 세 개의 섹션으로 전시지원’ 공모는 새롭게 개
운영된다. 첫 번째 섹션 <별별 수상한 약국>에서는 작 편한 노들갤러리 1·2 오픈된
가 김민주 초원이 약의 형태를 재해석하여 동화 같은 공간을 활용하여 다양한시 뉴스 및 공모전 정보제공
색감의 작품으로 비염을 주제로 한 <비염이 심했던 여 각예술 전 분야의 청년·신진예술인을 발굴·지원하고 전시가이드는 미술, 공예, 사진, 서예 등
미술관련 소식지로전국 갤러리의 전시일정 및
름>(2022)과, <H의 디스크>(2023) 등 신작 2점을 함 자 기획되었다. 전시공간은 서울 용산구 양녕로 445
미리보는 전시 등을 게재합니다.
께 선보인다. 두 번째 섹션은 <별별 수상한 잡화점>으 노들섬, 노들갤러리 1관 및 2관으로 공모분야는 노들 각지역 단체 및 학교, 협회 등에서 진행하는 공모전 소식이나
로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물품과 이미지를 활용해 새 섬의 장소성 관련 시각예술 전 분야(평면, 설치, 영상 갤러리소식 등 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로운 작품으로 표현하는 김소희 작가의 작품을 전시 등)으로 ((세부 예시) 서울, 한강, 자연, 섬, 노을, 음악, 뉴스 및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매월 15일까지 crart1004@hanmail.net
한다. 마지막 섹션 <별별 수상한 진짜...가짜?!>에서는 공연, 쉼, 휴식, 소풍 등)) 선발된 예술인에게 ‘2023년
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종이, 스티로폼 등 우리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노들섬 복합문화공간 신진예술가 공모전’ 참여기회를 (T.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이용해 일상의 모습을 그대로 복제하여 현대사회에 제공한다. 접수는 9월 10일까지이다. tel. 02)2275-2999
대해 고찰해보는 남다현 작가의 작품을 선보인다. 별 (T.070-4420-4059)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