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녹슮에서 반짝임으로
P. 30

근대화기 일본 수출 상품의 추이 c松浦利隆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이 메이지 정부가 그토록 추구하던 근대화의 재원이 되었던 때로, 그들에게 생사 수출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1년에 2회의 고 치 생산으로는 턱없이 부족했고, 1년에 여러 차례 고치 생산이 가능한 누 에저장법을개발해내는등누에고치의증산을향한그들의열망은바다 를 건너 조선으로 왔다.
조선 땅은 누에치기에 매우 좋은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었고, 더군다나 누에
치기의 전통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들에게 있어 조선은 생사 수출량을
늘릴 수 있는 기회의 땅이었다. 1905년에 일본에서 이미 <한국잠업조사결 과보고 韓國蠶業調査結果報告>와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 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가 보
고서로 제작될 정도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뽕잎의 품종개량사업에 착수한 곳은 대한제국 통
88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