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3 - 연구활동 Guide Book Ⅱ
P. 93
그는 제작한 현미경이 400 개가 넘을 정도로 현미경 만드는 일에
빠져들었다 단순히 무엇을 발명한 사실보다는 그 발명의 영향력.
을 중시하는 서양인들의 사고방식 때문인지 현미경의 최초발명'
자 를 레이우엔 훅으로 본다 이러한 별명을 얻게 된 것은 그가 ' .
제작한 현미경이 대물렌즈와 대안렌즈를 이용한 것으로 오늘날
의 현미경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최초의 ,
복합현미경을 개발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만든 현미.
경으로 냇물이나 빗물과 같은 용액 속에 어떤 물질이 들어 있는
지를 관찰하기도 하고 정자 곤충 동물에서 얻은 각종 작은 물, , ,
질도 관찰했다 현미경을 만든 직후에는 시험 삼아 여러 종류의 . [ 훅이 만든 현미경 ]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놓고 관찰을 했다 레이우엔 훅은 이런 과정을 통해 세포의 .
존재를 처음 확인했으며 최초로 원생동물을 비롯한 미생물의 존재를 알아냈다 그는 , .
자신의 연구결과를 널리 알리지 않았지만 그의 연구결과를 네덜란드의 의사 그라프,
(Regnier de Graaf, 1641~1673) 가 알게 된다 그라프는 당시 유럽 최고의 권위를 자랑.
하는 과학자들의 모임인 영국 왕립협회에 그를 소개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의 존
재를 알린다 미생물은 . 1673 년에 널리 알려졌으며 그 존재를 증명한 , 1680 년에 레이우
엔 훅은 영국 왕립협회의 특별회원이 된다 그는 현미경을 팔거나 빌려 주지도 않았.
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현미경을 만지는 것도 싫어했다 그러나 레이우엔 훅의 현, .
미경 제작 원리를 알아낸 과학자가 있었으니 훅(Robert Hooke, 1635~1703) 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물리학에서 탄성에 관한 훅의 법칙으로 유명한 그는 영국왕립협회의 회.
원이었다 레이우엔 훅의 연구내용에 대해 관심을 가진 훅은 네덜란드로 그를 찾아 .
갔다 그 때부터 이 둘은 여러 가지 재료를 관찰해 기록을 남기고 현미경을 개량하는 .
일에 힘을 모았다 훅은 이미 . 1660 년대 초에 나름대로의 현미경을 만들어 여러 가지
물질을 관찰했다 식물의 세포 구조를 처음 발견했고. , ' 세포(cell)' 라는 용어를 처음 사
용하기도 했다. 1665 년에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한데 모아 『 마이크로그래피아
Micrographia』 를 발행했다 레이우엔 훅이 왕립협회의 회원이 된 것은 훅이 . , 1678 년
에 자신이 개발한 새로운 현미경을 이용해 그동안 레이우엔 훅이 보고한 관찰결과가
모두 사실임을 입증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당시 훅이 개발한 현미경은 조명 장치를 .
이용한 것으로서 현미경 제조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린 것이었다 이때부터 레이우엔 , .
훅의 관찰 결과에 의심을 가진 이들이 레이우엔 훅의 현미경을 보기 위해 네덜란드의
델프트까지 찾아오는 일이 생겨났다 그때도 여전히 현미경을 빌려 주지 않던 레이우.
엔 훅은 찾아오는 이들에게 자신의 현미경 속에 담겨 있는 미지의 상을 보여주곤 했
다 그는 모세혈관과 정자를 관찰하기도 하는 등 아주 오랜 기간 현미경을 이용한 관.
찰을 했다 고인 물속에는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가 들어 있지만 깨끗한 컵에 받은 빗. ,
물 속에는 생명체가 없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자신이 관찰한 미생물이나 곤충의 생.
활사를 토대로 자연발생설이 옳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가 죽은 .
뒤에도 그의 관찰 결과와 주장이 널리 알려지지는 않은 채 오랜 세월이 흐르게 된다.
Chap Ⅵ . 과제연구 활동을 위한 참고 자료 ❯❯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