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1부. 경전 성서와 세계사 속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뿌리역사
P. 44

자와  한글의  유사성에  주목한  평도  나오고,  히브리어와의  음운
            서로  알려진  『창조서』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등  부분적으로  긍
            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을  동양사에서  알타이어족이라고  부르는  것은

            알타이계  언어를  사용했다는  증거이다.  언어교체가  완전히  된
            다음에  몽고로  옮겨서  살다가  만주로  내려와  압록강을  건어  대
            동강변에서  자리잡고  고조선을  창건했던  것이다.  중국의  난하
            지역  요령성이  고조선의  시발지라고  주장하는  학설(단국대  尹乃

            鉉교수)이  정당한  것은  그  지역이  몽고에서  한반도로  들어오는
            직선  코스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지역에서  부족국가(部族國家)를  형성하여  장기간  활
            동한  근거는  없고  경유(Pass)한  지역에  불과한  것이다.  고조선
            의  국가  형태가  평양이  확실한  것은  평양지방에  단군왕검(檀君
            王儉)의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어  입증하고  있으며,  본  제단의

            한강현  승사는  직접  이스라엘로  가서  고대  히브리어  전문가인
            바일란  대학(Bar  Ilan  University)의  에드  그린스타인(Ed.

            Greenstein)  교수의  설명에  의하면  와당사진  세  점의  문양은
            BC  8세기  후반에서  BC  6세기경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히브리어로  밝혀졌으며  그  구체적인  설명내용은  아래와  같
            다.



              와당  1)  ①  Arrived  도착했다.  와당  2)  ①  The  five  leaves(fl
            ower)  오엽화(한국의  국화인  무궁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  ②

            knot  구두끈을  묶는  시늉을  보이며  매듭,  무리가  되다,  협력하



            -  43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