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싱가포르생활정보(V.2021)
P. 18

예)  $150불로  정할  경우  ->  $300불의  전기  수리비가  나오면  $150불은  세입자가,  차액인

                  $150불은 집주인이 부담



              ★  주택  계약  시  중요한  한  가지  포인트
                직원  분들이  보통  2~3년  정도  거주  하시는데  2년  예정이시면  2년  계약  후  Diplomatic
              Clause  조항으로  1월에  계약해지  후  출국  가능합니다.(노티스  기간  주의,  한국학교가  2
              월  전체  방학  이므로  보통  1월에  가족  전체  출국,  한  달  렌트비  세이브)
              3년  계약이면  2년  계약  후  연장  시  에이전트와  계약조건  상의  필요


                처음  계약  시  1년  계약과  2년  계약  여부를  고민  많이  하시는데  그건  집값  상승기인지  하강

            기나  정체기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런  부분은  에이전트와  상의해야  하며  기본  적으로  집
            주인이나  에이전트  모두  2년  계약을  선호하며  1년  계약  시는  집에  대한  선택권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2019년  현재  재계약  시  렌트비가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타  계약서  관련  사항
              싱가포르  집대여  계약  종료  시  보증금(Deposit)을  돌려주지  않는  사례가  주변에  참  많습니다.
              •  집안을  꼼꼼하게  살피시고  차후  논란이  될  만한  사항은  미리  사진을  찍어두어(가전제품,  바

                닥의  흠까지  꼼꼼하게  다  찍으세요.)  시디  세  장을  분산  보관하고(집주인,  에이전트,  세입자)
                차후에  집주인이  문제를  삼을  경우  증빙자료로  제출합니다.
              •  보증금(Deposit)과  관련한  분쟁은  절대  목소리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계약서로만  해결이  됩

                니다.  계약서  작성  시  꼼꼼하게  항목  하나하나  따지고  없는  항목을  집어넣는  것이  중요합니
                다.  문제가  좀  있을  것  같으면  학교에  요청을  하여  현지  사정을  잘  아는  직원의  도움을  받
                아  계약  또는  해약을  하시기  바랍니다.  (세입자  쪽  에이전트가  없을  시  이야기이며  보통은

                에이전트가  다  해결  합니다.  사실  이런  것들이  에이전트가  필요한  이유입니다.)



            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한국촌(http://www.hankookchon.com) 홈페이지 ‘질문&답변’ 게시판에서
            Deposit(디포짓) 검색을 추천합니다.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