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 - 이정민 초대전 6. 21 – 7. 4 갤러리쌈지안
P. 2

회화적 상상(想像)과 실재(實在)로 동심을 통한 사랑과 행복

           그리고 공존을 그려낸 캐릭터의 세계
           - Hellow, Bo-Bong의 캐릭터로 상상의 환경 속에 실체화(實體化)된 사랑과 행복의 조형


                                                     한국영상문학협회 회장 시인 / 화림 이 세 종



           일전에 이정민 작가의 작품 세계를 ‘탐미적(耽美的) 실체(實體)와 사유(思惟)’로 고찰(考察) 한 적이 있다. 이는 회
           화의 일반적이고 가장 기본적 구조상의 특징 중 하나는 아름다움에 대한 통념(通念)의 구체화(具體化)이기에 그
           것에 대한 일반적 관념에서 성숙한 주제의 창출을 모색하는 회화적 요소라는 입장에서 더 심도 있게 작가의 고차
           원적인 자아 탐색으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완성도를 추구한 결과의 산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
           는 좀 더 포괄적으로 현대 문화 예술적 추이와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들여다보지 않을 수 없다. 현대 문화 예술의
           일련의 과정에는 이미 캐릭터와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절대적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정민 작가의 이번
           의 작품들도 그 일련의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 있기에 캐릭터의 시각화 측면에서 고찰하게 된다.
           - Hellow, Bo-Bong 이의 탄생으로 동심의 확장성과 구심점의 중요성

           일전에는 모란과 체리를 통하여 생명력과 풍요로움, 생명과 美의 탄생 그리고 여인의 아름다움을 은유적으로 내
           재시키고 있었지만, 이제는 그 탄생은 모태의 자궁처럼 배경이 되고, 보봉이라는 캐릭터의 탄생으로 시각적으로
           상상 속의 환경이 캐릭터의 성격과 인격에 영향을 주면서 보봉의 개성으로 확정되면서 성장하게 된다. 특히 그 생
           명을 동심으로 투영되는 다양한 상상의 공간에 공존을 통한 행복을 장식하며, 그 바탕에는 회화적 스토리텔링으
           로 행복과 사랑 그리고 공존까지 캐릭터의 총체적 특징과 개성을 뚜렷이 하고 있다.
           동심은 존재나 인식에서 내재적 가치 대부분이 오감의 만족을 원초적으로 근본이 되는 행복감이기에 그 무엇보
           다 순수하거나 본능적이며, 현대인의 궁극적 행복 추구는 애초에 동심의 발로와 동심에 의해 상상의 공간 속에서
           무한히 창작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즉, 어릴 적에 무수히 돋아나는 신선하고 창의적인 자유로운 상상력과 호기심
           이 충분히 발현되고, 상상의 공간에서 공존과 생명 유지 그리고 공감적으로 행복의 절대적인 가치를 추구하려는
           태도는 오히려 극단적으로 확장해 본다면 예술의 보편 가치와 절대적으로 공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작가가 보봉이라는 캐릭터로 이야기하려는 것은 무엇일까?
           상상과 사실을 넘나들며 정착하는 동심을 통하여 작가가 내면 깊숙이 오히려 생명 탄생의 기쁨과 동심의 성장이
           행복으로 공감되고 있는 것이며, 현대인이 보봉이와 함께 인격화, 사회화하는 과정에서 동심의 시각화는 참으로
           희망의 근원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있다.

           이미 작가의 작품 속 이미지에서 보봉이의 동심은 관객들에게 인지될 때까지의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상징적 상
           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작품을 보는 이의 지적 호기심마저 효과적으로 지속시킨다. 작품 속에서 다양한 캐릭터들
           과의 공존과 평등, 그리고 행복이 배양되는 환경 등, 자못 그동안 현대인이 잊었던 가장 중요한 가치를 내면의 동
           심 속에 있음을 이번 작품들 속에서 주장하고 구체화하고 있다.

           즉, 보봉이를 성장시키는 상상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 가는 다양한 성격과 개성에 의해 동심을 다시 회복하고 확
           장하며 동심으로부터 현대인의 행복을 다시 일깨우고, 상상 속의 공존만으로도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모든 이에
           게 공감은 물론 재미마저 제공하는 것이다. 캐릭터의 특성을 체계화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상징적 이미지에
           개성이나 성격을 삽입하여 친근한 요소로 작가의 철학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