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 샘가 2023. 9-10
P. 96
신명기
전정진 목사(구약학 교수)
저자
신명기의 저자와 저작에 관한 문제는 오경의 저작권과 함께 다루어야만 한다(참조 생명의 샘가 민수기
서론). 저자는 모세이다. 오경은 본질적으로 모세의 시대로부터 기인된 것으로 후대 독자들이 그 메시
지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들의 상황에 적용을 돕기 위해 후대의 손길에 의해 부분적인 보완이 이루어진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는 정도로 보아야 한다.
저작연대와 배경
신명기는 모세가 요단 강 동편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직전에 행한 연설들의 기록이다. 동시에 신명기는
하나님이 모압평지에서 출애굽 제2세대와 맺은 언약 갱신의 양식을 갖추고 있다.
핵심성구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이시니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신 6:4-5)
내용분해
1. 서론(1:1-5)
2. 역사적 회고(1:6-4장)
3. 가장 큰 계명: 여호와를 사랑하라(5-11장)
4. 일반적 규례와 법도(12-26장)
5. 축복과 저주(27-30장)
6. 모세의 마지막 말들(31-34장)
본서의 특징
신명기는 여리고 건너편 요단 강 동편에서 약속의 땅을 바라보며, 이스라엘을 40년 동안 인도하였던 위
대한 지도자 모세가 약속의 땅의 문턱에서 죽음을 앞두고 출애굽을 경험하지 못하였거나, 아니면 어려
서 경험하였던 새로운 세대에게 권면하는 간곡한 고별 설교(신 1:1-5; 34장)로서, 모세의 유언과 같은
기능을 한다. 신명기는 구약에서 가장 중요한 책들 중 하나다. 신명기는 오경의 결론인 동시에 역사서/
예언서의 서론 역할을 한다. 신명기에 나타나는 신학은 구약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신명기는 신약에서
가장 자주 인용되는 책들 중의 하나이다.
신명기 6-11장은 십계명의 처음 두 계명에 대한 감동적이고 설득력 있는 해석과 설명이라고 볼 수 있
으며, 12-26장은 십계명 전체에 대한 해석을 확장하여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명기의 법은 단순
한 법적 의무조항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설교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권고와 설득의 요소를 지닌 법이다.
신명기의 강해적인 성격은 백성에게 순종과 이에 수반되는 행위를 강압적으로 요구하지 않는다. 신명
기는 설득을 통하여, 또 왜 이 율법을 지켜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율법의 요구사항을
성취하기를 원한다.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