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 2019년04월전시가이드
P. 83

다시보는전시














































                                                                Some anxious moments 122×97cm Chinese ink, acrylic on paper 2018

                                    2019. 3. 20 – 4. 5 갤러리조선(T.02-723-7133, 북촌로)



             충만한 공허                                         고 규정한 바 있다.

            김진욱 개인전                                         동형태로 이루어진 김진욱의 작품에서 각 부분들 간의 구조적 유사성은 위아
                                                            래가 뒤집히거나 역 진행되고 단축되거나 확대되기도 한다. 섬세한 먹선으로
                                                            채워지곤 하는 드로잉에 기반한 그의 작품은 독일과 영국에서 오랫동안 수학
            글 : 이선영(미술평론가)                                  하면서 섭렵한 많은 형식에도 불구하고, 그가 한국에서의 학부 때 동양화를 전
                                                            공했음을 알려준다. 단위를 이루는 듯한 형태들은 기계적으로 시공간을 채우
                                                            는 것이 아니라, 이합집산하는 방식에 따라 다른 서사 또는 상징을 보여준다.
            김진욱의 작품에는 형상 속의 또 다른 형상이 자리한다. 뭔가 조밀한 작은 것      여러색과 크기를 가진 동그라미도 김진욱의 작품을 이루는 형태소이다. 가장
            들이 와글와글한 화면은 숨은그림찾기처럼 드러냄과 사라짐이 교차 되는 역         단순한 도형인 원은 이후의 변형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다. 원은 동서고금
            동적인 장이다. 세포들 또는 거품들, 또는 소용돌이 그 무엇으로 보이든 간에,     을 통틀어 자아의 상징(플라톤은 정신을 구형에 비유했다)으로 간주 되곤 했
            그것들 사이에서 또 다른 세포들, 거품들, 소용돌이들이 생겨나거나 사라진다.      는데, 그의 작품에서 원은 검은 달로 대표된다. 달 표면 같은 지형이 새겨진 큰
            분열과 합체를 거듭하는 듯한 작은 단위구조들의 흐름이 압도적인 인상을 자        원은 유체적 속성을 띄는 형태소들에게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아낸다. 큰 얼개만 구상해 놓고 그때그때의 감각에 따라 채워진다는 점에서,       움직임을 통해 작가는 정지된 매체인 그림 안에 잠재적인 운동감을 부여했다.
            단위구조들은 단순한 장식적 패턴과도 다르다. 그러면서도 ‘벽돌을 쌓듯이’채       무의식과 의식의 관계처럼 잠재적인 것이 수면 아래에서 올라오면 현실이 된
            워지는 이미지들은 예술가와 장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영역에서 만들어진다. ‘       다. 물론 그의 역동적인 화면구성은 심층과 표층을 고정하지 않는다. 양자는
            벽돌’이라는 비유에서 보이듯이 그의 작품은 일종의 동형관계를 바탕으로 한        언제든 자리를 바꿀 수 있다. 그는 이미지가 있는 화면 가장자리를 돌돌 말아
            다.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인지과학을 주제로 한 저서 [괴델 에셔 바흐]에서      서 표면만 있는 공간을 암시하기도 한다. 표면으로서의 세계는 3차원상의 일
            원래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변형을 동형태(또는 동형관계isomorphism)라    정한 부피를 가지는 유한한 공간에 무한을 도입한다.(중략)


                                                                                                       81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