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김해일보165호0902
P. 10
10 2020년 9월 2일 수요일 책과 이야기 김해일보
-경남정신의 뿌리- 제6장 불우에서 부른 노래
남명 선비문화를 찾아서
김종간 향토사학자
얼마 후 들리기를 김해부사 변국한이 연자루를 중건하
김해남명정신문화연구원
이어서>>>
이어서>>> 제7장
3) 경세적 실학사상의 원류 도읍(都邑)의 정자(亭子)
연자루, 함허정, 산해정
남명은 이 상소문에서 국가는 썩은 고목나무같이
되어 비바람만 불어도 망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유학은 '사람에게 필수적인 학문'을 뜻하기도 한다. 연자루燕子樓
국가내부의 부패가 만연하여 외침이 있으면 큰 일 비록 그것이 이론적인 사상체계일지라도 사람을 실 「읍지」 공해조에 “호계(동상동의 호계천) 위에 있
이 난다는 것이다. 이는 중종 때부터 다시 여진속이 질적으로 이롭게 하는 사상, 즉 실학일 때| 의의가 다. 정사년(1677)에 변국한 부사가 중건하고 정묘년
발호하고 을묘왜변등으로 왜인들의 동요가 심상치 있다는 것이다. 실학은 '실사구시의 학문'을 줄여서 (1686)에 이행익 부사가 중수하였으며 무술년(1717)에
않은 때이고 보니,미구에 큰 전란인 임진왜란이있을 쓰는 명칭이다. 그 용어가 처음 문헌에 보이는 것 김중구 부사가 중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것을 예고한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바로 이러한 논 은 《한서》에 '학문을 함에 옛것을 좋아하고, 사실 맹세형이 시서에 말하기를 "내 일찍이 여러 곳 중에서
지는 내치의 문란, 즉 국가 안의 부패가 나라의 힘 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한다'는 말에서 출발한 문정공(맹사성)이 지은 김해부의 '연자루' 란 뛰어난 시
을 약화시켜 밖으로부터의 화를 자초한다는 뜻으로 다. 유학의 실학사상은 경세사상을 구제하는 사상을 를 보고 이 루에 오르지 못함이 한이 되어 등불에 비
풀이할 수 있다. 그 내치의 구체적 부패상에 대해 말한다. 친 먼지에도 읍하게 되었다. 다행히 피곤한 기운을 향
서 남명은 "조정에 있는 사람으로서 충성스럽고 뜻 남명은 유학사상의 근본 종지라고 할 수 있는 '수기 막 (군대의 막사)에서 풀고 해진을 모두 밝아 김해부의 였는데 건물의 장대함과 아름다움이 영남에서 으뜸이란
이 있는 신하와 일찍 일어나고 밤 늦게 자며 부지 치인에서 치인, 즉 경세적인 실학사상에 학문사상의 치소에 이르러서 이른바 연재자루 쪽을 바라보니 병화 소식에 자식으로서 홍복이 아닐 수 없었다.
런히 애쓰는 선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의 형 중점을 두었고 그 제자 및 사숙인들은 이를 계승하 로 부서진 주춧돌과 잡초가 무성하다. 마음은 언제나 남쪽으로 달려갔지만 관청의 일로 여가
세가 이미 극도로 부패해져서 둘러보아 손을 쓸 수 였다. 이것은 유교의 민본적 정치사상과 그대로 통 를 낼 수 없음이 한이었는데, 지난달에 방백(관찰사)의
없는 지경에 있음을 알고 어제할 줄을모릅니다.신 한다. 문미에 걸었던 시판도 불과 연기에 함께 없어졌으니 어 명이 있어 무거운 책무에서 풀려나 돌아보고 잠자니 행
은 이 때문에 오랫동안 생각하며 계속 탄식하여 낮 그런데 조선 중기의 시대상황은 남명에게 유학사상 떻게 유묵(죽은 이의 필적)을 즐겨 구경하며 어디에다 복하지 않은가.
에는 하늘을 우러러 쳐다보는 것이 한두 번이 아니 이 올바로 적용된 사회가 아닌 것으로 비쳐졌다. 갱장 <갱장견요에서 온 말로, 요임금이 죽은 후 순임
고 허희 하며 탄식하여 밤에는 눈물을 가리는 것 한편 조선 후기 실학의 집대성자라 할 수 있는 정 금이 그를 사모하여 3년이 되도록 앉았을 때는 담벽에, 마음은 빛나는 연자루 난간과 기둥 사이에만 있고 싶은
이 오래 되었습니다. 자전(문정왕후)은 사려가 깊으 약용은 16세 때 이익의 글을 접하고 평생 사숙한 밥을 먹을 때는 국그릇에 그의 모습이 나타났다고 한 데 조물주의 장난인지 날이 저물고 길이 멀어, 올라서
시나 깊은 궁궐의 일개 과부에 지나지 않고, 전하는 다. 이익은 그의 부친 이하진과 같은 당색이며 학문 다. 선현을 추모하고 사모한다는 뜻으로 사용>의 추모 조망할 기약도 없네. 심부름을 시켜 시판을 가져오게
나이가 어리어 선왕의 대를 잇는 외로운 아드님일 사상과 그 경향성에서 밀접한 관계에 있던 허목을 를 하리오. 슬프다! 우리 선조인 신창군의 유풍과 여운 하여 다시 손질하여 윤색하고 그 전말을 기록하여 다시
뿐이니, 백천가지 천재와 억만 갈래로 흩어진 인심 사숙하였다. 허목의 스승은 바로 남명의 고제자인 이 수백년을 지났어도 매일 부인과 아이들이 지금까지 새 문미에 걸어 그윽한 연자루의 중건한 뜻에 부합토록
을 무엇으로 수습할 것입니까?" 라고 죽음을각오하 정구이다. 허목은 조경과 함께 처음에는 정구의 제 외우고 말하여 소하지 아니한즉 시가 있고 없음이 진실 한다." 하였다.
고 거침 없이 비판하였다. 자인 문위에게 사사하다가 문위의 추천으로 정구의 로 선조의 썩지 않을 공로에 걸여됨이 없으나 뒤에 이
특히 왕과 대비에 대한 호칭을 '고아'나 '과부'라고 만년 제자가 되었다. 그렇게 볼 때 경세치용의 실학 부를 지나는 사람들이 가치 있는 시를 목격하고는 문득 기록은 연자루가 김해시 동상동의 연화사 일대의 자리
운운하였지만, 비록 그것이 송대 선인도 사용한 용 파인 이익과 정약용 등은 바로 남명과 정인홍 그리 사성의 초헌이 자나친 바요 꽃다운 발자취를 알아 가하 에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아름다움을 노래한 시와
어라는 근거에서 하여 '임금에게 불경한 죄로 사형 고 정구의 학문 경향성과 실학적 요소를 이어 받았 공경할 제 시 역시 도움되는 바 있으리라. 시서가 전해지고 있지만, 최초로 언제 누구에 의해 지
에 처해질 위험에서 벗어날 수는 있었다. 그렇지 다고 볼 수 있다. 어졌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주열, 김득배, 정몽주 등
만 왕과 수렴첨정을 하는 대비가 제대로 정치를 잘 그 구체적인 것은 유학의 학문사상과 그 경향성에 하물며 나중 볼초 자손으로 역시 공무로 관청의 짧은 고려 후기의 이름난 문신들의 시가 전하고 있어 고려
못하여 백성이 가죽이 벗겨지는 상황이라면 그것은 서 주자 성리학에만 머물지 않아, 박학다기하였고, 시간을 얻어사불에 느낌 포를 일으킨 것이다. 이에 경 때의 누각임을 알 수 있다. 주 열이 1287년에 세상을
왕이 직무를 유기한 것으로 왕답지 못하였으니 남 사회경제적 문제의식에서 공물의 폐해와 이에 관련 해 윗사람에게 자기를 알리는 기침소리)를 책상 앞에서 떠났으니 적어도 그 이전 누각임은 확실하다.
명이 그 용어를 사용한 것은 오히려 타당하다. 된 남명학파 인물들의 공통적인 '서리망국론과 이익 받은 즉, 어찌 가히 뜻하는 한 하디 말이 없겠느냐? 마 「읍지」의 연혁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불타 무너져 내
이러한 상소문을 올릴 수 밖에 없는 당시 사회·정 의 '장리론' 그리고 정약용의 '향리론'은 그 대표적인 침내 부사 조 즙과 아울러 5대 백조 신창군이 지은 운 린 것을 정사년(1676)에 중건했고 정묘년(1686)과 무
치적 현실의 구체적 모습은 남명은 〈민암부>에서 예이다. 남명은 "군정, 민정 등 서정과 나라의 기무 에 탁하여 다시 새겨 별관에 매달고 인하여 거칠고 못 술년(1717)에 중수했다. 오랜 세월에 무너져 내리고 훼
도 이렇게 옮고 있다. "궁실을 광대 하게하는 것은 가 모두 도필의 손에서 나오니, 한 타래의 실, 한 남을 헤아리지 않고 삼가 왼쪽에 써노라."하였다. 손됐다가 1932년 9월 완전 철거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
암을 운반해 오는 수레이고 여알(:왕의 총애를 입 톨의 밤도 서리들 손에 맡겨서 바치지 않으면 시행 다.
은 궁녀가그 권세를 이용하여 청탁하는 행위)이 성 되지 않습니다. 안으로 재물은 모일지 몰라도 밖으 맹주서가 시서에 이르기를 "옛날에 내 선군(돌아가신
행하는 것은 암의 계단이고, 세를 거두는 데 기준이 로 민중은 흩어져 열 사람에 한 사람이 남아 있기 아버지 맹세형)께서 항상 영남 김해부에 연자루가 있었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 문신들이 남긴 '연자루' 시 속에
없음은 암을 쌓는 것이고, 사치함이 헤아릴 수 없음 가 어렵습니다. 다고 말씀하시며 '선조 문정공(맹사성)께서 일찍이 시 서 아름다운 어제의 김해를 오늘에 그려본다.
은 암초가크게 서있는것이니 이 암초가 비록 민중 한 편을 연자루에 남겼으나 누각이 임진왜란에 불타고
에게 연유하고 있으나 임금의 덕에서 더 크게 연유 옛 터만 남아 있었다. 정묘년(1627) 말을 타고 김해부
함이 아닐 수 없다. 물과 같은 박성이 배인 임금을
받들어 모시지만 물 속에 암초인 바위가 있으면 배 다음호계속>>> 에 가서 그 시의 제를 이어 다시 새겨 별관에 걸었다.'
는 좌초해서 전복되기 마련인 것이다. 이처럼 당시 고 하셨다.
현실이 온통 바위를 물 속에 운반하여 크게 쌓고 다음호계속>>>
있는 것과 같아, 잘못하면 왕 자신도 무너지게 된다 못난 자식은 입으로 대답하고 마음속에 아름답게 새
겨 마음을 다해 김해부로 가서 감상하려 하였는데 전쟁
는 엄청난 경고이다. 김해일보 이 계속되고 세월이 덧없이 흘러 45년이 지났다. 지난
이것은 남명이 진리란 정사에 있으며 정치의 근본이 해 가을에 화산(경북영천) 수령으로 나갔으나 땅은 비
란 바로 민중에게 있다는 사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록 같은 경상도지만 길이 좌도와 우도로 나뉘어서 이룰
수가 없었다. 김해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