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챌린지 20호 해설지
P. 26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챌린지 20호 해설지
- 바른 자세로 몰입하여 읽는다.
속해 - 중심 단어 5개를 적고 내용을 줄거리로 만들어 본다.
석유와 우리 생활과의 관계
1960년대 OPEC는 외국 석유 회사들의 석유 가격 조정에 반발해 석유 가격의 주도권을 잡고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1973년 중동 전쟁이 터지자 아랍 산유국들은 이 전쟁을 OPEC의 위력을
과시하는 절호의 기회로 이용하여 생산량을 줄이고,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미국 등에 대해 석유
수출을 금지시켜 종전의 원유 1배럴당 가격을 3달러 2센트에서 3달러 65센트로 인상한다고
발표하였다. 이어, 중동 전쟁에서 석유를 정치적인 무기로 사용할 것을 선언하였으며, 그 후 1974년
1월 1일 배럴당 5.119달러에서 11.651달러로 인상하였다. 이로 인해 석유에 기간 산업의 대부분을
의존하고 있던 서방 세계의 경제는 석유 부족으로 인한 제품 생산의 부족과 제품 가격의 상승으로
세계적인 불황과 인플레이션을 겪게 되었는데 이것이 제1차 석유 파동이다.
1978년 12월 OPEC 회의에서 1976년 배럴당 12.70달러에서 단계적으로 14.5%의 인상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1973년 제1차 석유 파동 이후 배럴당 10달러 선을 조금 넘어섰던 석유 가격은
불과 6년 사이 20달러 선을 돌파하였고, 현물 시장에서는 배럴당 40달러에 이르게 된 것이 제2차
석유 파동이다.
이러한 2차례의 석유 파동은 해외 의존적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 경제에 그대로
파급되었다. 시민들은 줄을 서서 석유를 사야 했고, 서민들은 당장 먹고살 걱정을 해야 했으며,
학교는 조기 방학에 들어갔다. 소비자 물가는 1973∼1976년 3년간 72.0%가 상승했다. 자동차도
주차장에 서 있어야 했으며, 공장도 문을 닫았고, 수출입 선박들도 항구에 정박해야 할 정도로 우리
경제는 일시 정지 사태가 되었다.
(643자)
페이지 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