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시드 20호
        P. 31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시드 20호
                                  - 문단 별 핵심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절에 밑줄을 그어보세요.
                  탐구독해            - 핵심어에 동그라미를 치고 핵심내용을 단어나 구절로 요약해 보세요.
                                                    인내와  겸손
                  1  곤란과  장애물은/  언제나  새로운/  힘의  근원입니다./  예로부터/  ‘인내는
               쓰다./ 그러나 그  열매는 달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우리는  어려운 일을  당할
               때나/  괴로운  일을  당할  때/  끝까지  참고  견디는  사람에게서  /성공의  사례를
               보게  됩니다./  그처럼  어떠한  일이든지/  견딜  수  있는  사람은/  무슨  일이든지/
               해낼 수 있습니다./
                  2 추운  겨울날,  시골의  논두렁  길을  헐벗은  스님  한  분이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때  저쪽에서  어떤  젊은이가  말을  타고  오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은  논두렁의  외길에서  마주쳤습니다.  어느  한  쪽이  길을  비키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습니다. 말 위의 젊은이는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스님을 내려다보고
               있다가 말을 몰아 앞으로 다가서더니 발로 스님의 얼굴을 걷어찼습니다. 스님은
               그만  논바닥에  굴러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젊은이는  얼른  지나가려다  문득
               발을  멈추었습니다.  조금  전에  스님을  찰  때  그의  신이  벗겨지고  말았던
               것입니다.  신은  논바닥  한  가운데에  그것도  스님이  빠진  자리에  떨어져
               있었습니다.  젊은이는  당황했습니다.  신을  주우러  가자니  뻘  속에  들어가야
               하겠고,  논바닥에는  스님이  흙투성이가  되어  서  있었습니다.  젊은이는  가지도
               오지도  못하게  되었습니다.  스님은  젊은이의  가죽신을  집어  들었습니다.
               젊은이는  얼굴이  새파래졌습니다.  그러나  스님은  아무렇지도  않은  얼굴로
               흙투성이가  된  신발을  자신의  옷자락으로  훔쳐서  젊은이에게  주었습니다.
               젊은이의  얼굴은  홍당무가  되었습니다.  스님은  걷어차이고  온  몸이
               진흙투성이가  되었지만  얼굴엔  오히려  미소가  감돌았고,  젊은이의  얼굴은
               뉘우침과 부끄러움에  일그러져 있었습니다.
                  자기만  알고  남을  생각지  않는  젊은이와  같은  사람이  지금도  적지
               않습니다.  비록  젊은이에게  모욕을  당했지만,  이를  나무라지  않고  도리어
               흙투성이가 된 신을 자기 옷으로 닦아 건네 준 스님에게서 삶의 철학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702 자)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