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메타코칭 공토 2025-04 챌린지
P. 20
메타코칭 인지훈련 챌린지 2025-04
- 문단 별 핵심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절에 밑줄을 긋는다.
메타독해력 - 핵심어에 동그라미를 치고 핵심내용을 단어나 구절로 요약한다.
바다의 개발 방법
유성은 우주 공간의 작은 암석이 지구의 인력에 끌려서 대기권으로 들어올 때 볼 수 있다.
혜성이나 소행성 등이 태양 근처를 지날 때 작은 암석 조각들을 남기고 가는데, 그 지점을 지구가
지나게 되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유성을 볼 수 있다. 이를 유성우라고 하며 유성이 비처럼
쏟아진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겨울철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유성우는 쌍둥이자리 유성우(12월 14~15일)와 용자리 유성우(1월
4일)이고, 여름철의 대표적인 유성우는 페르세우스 유성우(8월 13일)이다. 이들은 3대 유성우로
손꼽히고 있으며 해당 시기에 시간당 최대 120개의 유성이 나타날 수 있다.
유성우 관측에는 특별한 장비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하늘에서 떨어지는 아름다운 유성우를
제대로 관측하려면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 가로등, 도시의 불빛 등 인공적인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이 좋다. 또 옥상이나 산 위 등 고도가 높고 대기가 깨끗한 곳이 좋다. 그리고 서 있는
상태에서 계속 하늘을 보기 어려우므로 돗자리를 준비해 누워서 보는 것이 좋다. 또한 겨울철에는
추위에 대비하여 두꺼운 옷과 침낭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430자)
페이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