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메타코칭 공토 2025-01 어드밴스
P. 4

메타코칭 인지훈련                                                                   어드밴스 2025-01





                                  - 바른 자세로 몰입하여 읽는다.
                메타집중력
                                  - 중심 단어 5개를 적고 내용을 문장으로 만들어 본다.


                                          잘하는  것과  소중한  것




                  ‘잘하는  것’과  ‘소중한  것’은  다릅니다.  잘해야만  소중해지는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뭔가를 잘 하면 소중하고  잘  못하면 소중하지  않다고  한다면  아이는  자존감이 약한  아이로

               자랄 수밖에 없습니다. 능력과 존재는 연결하지 말아야 합니다.

                  행동에  대한  책임을  가르쳐야  합니다.  ‘오늘의  나는  어제  내가  한  선택의  결과다’라는

               것을  알게  해야  합니다.  책임감(responsibility)을  가르칠  기회입니다.  책임감이란  어떻게

               반응(response)할지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ability)을 말합니다.

                  일관성이  있어야  합니다.  부모가  일관적이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른  대응을  하면  아이는

               ‘애어른’이  됩니다.  원칙이  아닌  상황에  따라  대응하는  눈치  빠른  아이가  된다는  말입니다.

               ‘애어른’이  그대로  나이를  먹게  되면  ‘어른아이’가  됩니다.  나이는  먹었지만  책임감과

               주도성이 없는 사람이 되지요. 부모의 양육태도가 끼치는 결과입니다.

                  부모가  일관성을  갖고  아이를  양육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부모의

               감정이나  상황에  따라  다른  대응을  하면  치러야  할  대가가  훨씬  커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일관성은  원칙에서  나옵니다.  존재와  행동을  분리해서  보는  것입니다.  또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우는 것입니다.


                                                                                                  (486자)

























                                                                                             페이지 4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