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메타코칭 문해력독해력 어드밴스 21호
P. 8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어드밴스 21호



                                  - 문단 별 중요한 핵심구절에 밑줄치고 요약한다.
                  언어독해            -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고 전체적인 주제를 파악한다.






                  호랑이는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에서부터  등장한다.  호랑이는  고려  시대의

               기록이나  최근에  조사된  민속  자료에서는  산신(山神)으로  나타나는데,  ‘산손님’,  ‘산신령’,

               ‘산군(山君)’, ‘산돌이’, ‘산지킴이’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처럼 신성시된 호랑이가 우리의

               설화나  민화  속에서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다.  설화나  민화  속에서  우리는  무서운

               호랑이, 익살스러운 호랑이, 정이 철철 넘치는 호랑이, 신이(神異)한 호랑이를 만날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은  호랑이를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사납고  무서운  호랑이로

               표현하여  악을  물리치고  선이  이기기를  바라기도  하였으며,  호랑이를  어리석은  존재로

               나타내어  삶의  지혜를  소망하기도  하였다.  때로는  호랑이를  신성한  존재로  여겨

               신격화하기도  하였고,  정과  의리와  인간의  효성에  감동하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이렇게  설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여러  가지  모습은  호랑이에  투영된  민중  의식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391자)








































                                                                                             페이지 8
   3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