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제5권_Neat
P. 41
당시 오산을 포함한 수원지역의 한우는 우량역축으로 소문이 나고 고기 맛이 좋아 일본과 러시아
로 수출(1만3천 마리 정도)되었다고 하며, 당시에 농가 5~10호마다 한우 1마리를 사육할 정도로 축산
39
열기가 왕성한 때도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농가가 일을 시키기 위해 한우를 사육하였으며, 당시의
산업
농민들은 소의 고기만을 이용하고 우피는 가공처리 방법을 몰라 크게 이용되지 못하는 수준이어서
전체로 보면 국내의 농가자급 정도 수준에 머물렀다. · 경제 / 보건
4) 양잠업 실태 · 환경위생
정치, 경제적인 개혁을 단행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적 기반을 구축한 조선왕조는 잠업을 농업 못지
않게 중시하여 국가적인 산업으로 육성하였으며 역대 왕들은 농상이 의식의 근원이라 하여 이를 주 · 사회복지
요 국정의 지표로 삼았다. 조선 초기부터 잠업은 상공업과 같이 관 주도로 발달하게 되는데 잠업이
다른 산업과 달리 상목재식 기간이 오랫동안 소요되는 특수한 여건이므로 국가에서 장기적으로 육성 / 사법
했다. 정종 2년(1400)에 선잠제향(先蚕祭享)을 지냈다는 기록과 3대 태종 대에 친잠례(親蚕礼)를 궁 · 치안
중에서 실시했으며, 태종 15년(1415)에 『양잠경험촬요(養蚕経験撮要)』가 편찬되었다. 그리고 21대 영
조 대에는 「친잠의궤(親蚕儀軌)」를 작성 친잠실시를 했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있다. 왕실에 · 소방
서 잠업에 관심을 갖고 농민에게 권잠을 하고 잠업성공을 축원하였던 것이다. · 언론
잠업의 육성정책으로 조정에서는 잠업의 기술보급과 장려를 위해 『양잠경험촬요(養蚕経験撮要)』,
『잠서(蚕書)』, 『농상목축서(農桑畜牧書)』 등 양잠 관련 책자를 편찬·보급하는 한편 뽕나무 재식을 위
해 잠종지법(蚕種之法), 공상잠실법(公桑蚕室法), 양잠조건 등의 법을 만들어 각호(各戸)나 각사(各
司)에서 뽕나무를 의무적으로 심고 가꾸도록 하고 이를 어기면 처벌하였다.
수원 관내에도 양잠이 크게 장려되었는데, 특히 오산의 독고리(과거 수청동의 한 마을 이름) 지역
이 양잠이 대단히 번성하였다고 하며 지금까지도 이곳에 뽕나무를 많이 재배했던 상골밭이라는 지명
이 있다. 오산동에도 상골밭이라는 지명이 있었는데, 이곳 역시 오산천변 일대에 뽕나무밭이 많아 붙
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1960년대까지만 해도 지금의 오산종합운동장 위쪽과 청학동 주변, 초평들의
천변과 남촌동, 대원동 일대에 뽕나무들이 많이 잔존해 있었다. 이렇듯 오산지방의 토질이 뽕나무재
배에 적합할 뿐 아니라 기후도 4월부터 6월 초까지 건조하여 누에사육에 알맞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양잠이 성행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양잠기술의 후진성은 물론 누에의 질병이 많았고 또한 부
녀자의 부업형태에 머물러 고품질 대량생산은 못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15~16세기경 이후에 민간의 양잠 열이 고조되고 양잠이 널리 성행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상
목재식이 확장되었고, 잠서가 번역되어 양잠기술이 보급되었으며 사회경제의 발달로 견직물의 수요
가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초기에는 특권층에게만 면주(綿紬) 착용을 허용하던 것이 일반
인들에게도 비단을 입을 수 있게 됨에 따라 양잠업이 농가의 부업으로 정착되었고, 견직물의 직조가
사적인 수공업으로 바뀌어 상품화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