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오산시사1권
P. 147

6. 오산 우시장의 변천                                                                                  145

                                                                                                                  생활환경
                  1) 우시장의 성장과 거래규모


                    오산 장시의 변천에서 빠트릴 수 없는 것이 바로 소의 판매, 즉 우시장의 발전이다. 1918년 조선총                                       /  지명유래
                  독부 조사에 의하면 전국적으로 우시장은 655개소였는데, 이 중 47개가 경기도에 있었다. 가장 거래

                  량이 많았던 우시장은 함경북도 명천군 명주장과 길주군 길주장으로 1년에 2만 5,000마리가 거래되
                                                                                    26)
                  었다. 그 다음으로 큰 장이 수원군 성외장으로 1년에 2만여 마리가 거래되었다.  수원의 우시장이 전
                  국 3대 우시장으로 성장하면서 오산의 우시장 역시 서울, 수원, 경기 남부 지역을 잇는 중계시장으로
                  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소매매에는 다른 어떤 물품보다도 많은 돈이 오고갔기에 우시장의

                  성황은 그 지역 경제 발전과도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우시장은 언제 설치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관련한 기록이 1920년대 조선총독부가 펴낸 여
                                                                                                     27)
                  러 보고서 『市街地の商圈』(1926), 『朝鮮の移出牛』(1927), 『朝鮮の市場經濟』 (1929) 등에 등장한다.
                  1914년 일제는 ‘한우보존에 관한 훈령 및 시행규칙’을 제도화했는데 이는 ‘소의 거래는 반드시 우시장

                  에서만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사설 우시장은 허락되지 않았고 소를 포함
                                                                 28)
                  한 가축시장은 부읍면(府邑面)에서 운영하도록 하였다.  1921년 ‘조선가축시장회’가 설립된 후 전국
                  적으로 우시장은 크게 증가하였지만, 서울과 평양에 특설한 네 곳의 상설 우시장을 제외하면 모두 5
                  일 정기시장으로 열리게 되었다.          29)

                    오산 우시장은 전국 3대 우시장으로 성장한 수원 우시장에 힘입어 크게 성장하였다. 1925년 오
                  산우시장의 연간 출장두수는 9,100두로 수원장 2만 4,300두, 안성장 9,900두에 이어 세 번째 규모

                  를 차지하였으며 1930년대 오산장은 남양장, 발안장과 더불어 가축시장을 중심으로 발달하게 된
                  다. 1934년 오산장의 총 거래액은 469,816円인데, 이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바로 축류로

                  388,536円이 거래되었으며 농산물이 40,850円, 기타 잡품이 25,800円, 직물 9,160円, 수산물 5,470
                  円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가축류의 거래액이 많았다는 점에서 오산장에서의 우시장이 차지했던

                  비중을 알 수 있다.
                    1950년대 들어서 수원 우시장이 서울·대구 다음으로 ‘3대 쇠전’으로 위상을 공고히 해나가자 인근

                  에 위치하여 중계시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던 오산 우시장 역시 동시에 성장하게 된다.
                    1964년 연간 소의 출장두수는 7,455두, 매매두수는 4,149두, 1976년 일간 소의 출장두수 400두로

                  이를 연간으로 환산시 2만 8,800두에 달했으며, 1976년 수원 일대의 우시장의 출장 소 두수는 수원
                  우시장이 500두로 그 다음이 오산장 400두 평택장 250두, 시흥 신천리 우시장 200두, 안중장 150두,





                  26) 수원시, 『수원시사』, 2014.
                  27) 경기도문화원연합회, 『수원우시장』, 2017.
                  28)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63년 법률 제1363호에 의해 축산법이 제정되었으며, 1975년 경매제도가 시범적으로 도입되었으며 1977년
                    축산법이 개정되어 중개 거래와 경매제도가 병행되도록 법제화되었다.
                  29) 한우마당 http://www.ihanwoo.kr.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