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0 - 제1권
P. 130

시가 증가했다. 전라도는 대부분 평야지대로 다양한 농산물과 해산물이 생산되었기에 장시가 성립될
                  수 있는 여러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장시가 시작된 초기에는 1달에 2회씩 열리는 15일장으로

                  운영되었다. 이처럼 초창기 장시는 1달에 2회, 많아야 3회 정도 열리는 정도였으나 17세기 들어서면
                  서 1달에 6번 열리는 5일장으로 발달하였다.

                    전라도에서 시작된 장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자 조정은 장시에 대한 유용론과 폐단론으로 나뉘어
                  서 의견이 분분하였다. 농민이 토지에서 이탈하여 논밭이 황폐해지고 도적이 증가한다는 폐단론에도

                  불구하고 장시가 백성들의 생활에 큰 도움이 되며 특히 흉년이 들 경우 진휼에 도움이 된다는 유용론
                  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중종실록』의 기록을 보면 중종 13년(1518년)에는 방방곡곡에 장이 서지 않는

                  곳이 없다고 할 정도였고, 중종 15년(1520년)에는 제도(諸道)에 장시가 열리고 있다고 한 것을 보아
                  각 군현에 장시 개설이 보편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또 다른 기록상으로도 『명종실록』 3권 명종 1년(1546년)에 삼공(三公)이 아뢰기를 “장시(場市)는 전
                  라·경상·충청도에서 시도된 내력이 있습니다. 생활이 어려운 빈민 중에는 의복을 팔아서 연명하는

                  자가 자못 많습니다. 다만 장시는 날이 혹 다르기 때문에 서로서로 옮겨가며 팔게 되어, 이 때문에 도
                  적이 성행합니다. 만일 한 달에 두 번 내지 세 번씩 영구히 격식으로 삼고 일시에 장이 서게 한다면 거

                  의 그런 폐단이 없을 것입니다.” 하니 명종이 “장시는 장서는 날을 정해 놓고 각 고을에서 일시에 똑같
                  이 장서게 하도록 하유하라.”라 답하였다는 글을 통해 정기적으로 장시를 열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순조 8년(1808년)에 편찬된 『만기요람』에서는 전국 15대 장시가 등장하기도 했으며 8도에 걸쳐 모
                  두 1,061개의 장이 서고 있고 그중 일부는 상설화(常設化)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초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예규지(倪圭志)에 의하면 전체의 장시는 1,052개였다. 이중 전국적으로
                  도 5일장의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경기도는 5일장이 유일한 형태였으며 총 93개가 열리고 있었다. 5일

                  장은(1·6)·(2·7)·(3·8)·(4·9)·(5·10)의 다섯 가지 형태로 열리는데 예를 들어 (1·6)장은 1
                                                                 6)
                  일·6일·11일·16일·21일·26일 열리는 장을 말한다.


                                                표 1, 1830년경의 지역별 정기시장

                             지역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계
                   개시횟수
                     3일장        -       3        1       -       -       -        -       -       4
                     5일장        93      146     159     243      51      79      92       42     905

                     10일장       -       6       28       25      -       24      42       -      125
      오산시사           15일장       -       3        -       -       -       6        9       -       18

                      계         93      158     188     268      51      109     143      42     1,052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시장(市場)’

      제
      1
      권

                  5) 국사편찬위원회 편, 『장시에서 마트까지 근현대 시장 경제의 변천』, 2007.
    128           6) 『시장(市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