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7 - 제2권
P. 107
107
역사 / 유적 · 유물
그림 2. 지곶동 고려시대 1호 토광묘 및 고려시대 1호 토광묘 출토유물 일괄
외삼미동 유적의 움무덤에서는 각종 청자류와 함께 북송 때의 진종(眞宗) 연간에 쓰인 화폐인 상부
원보(上符元寶, 1008~1016), 고려 숙종때 화폐인 해동통보(海東通寶, 1102년) 등의 동전이 출토되었
다. 가장동 유적 4호 돌넛널무덤에서는 기존의 분묘유적에서 드물게 확인되는 장도(粧刀)의 손잡이
장식이 확인되었다. 금으로 만든 이 장도의 장식에는 식물문양이 섬세하게 조작되어 있어 무덤 주인
의 신분의 위계를 확인할 수 있다. 68)
70)
69)
71)
생산유적은 내삼미동 ·수청동 유적에서 기와가마 1기가 확인되었고, 청학동 유적의 가마터에
72)
서는 청동제 인장이 출토되었다. 더불어 가장동 유적에서는 철 생산과 관련된 유구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13개 유적 중 특이한 점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찰이 발견되었다. 가장동 유적
4-2지잠에서 건물지가 확인되었는데, ‘대덕4년(大德四年)’명 연호기와와 함께 ‘향수사(香水寺)’명 기
와가 출토되었다. ‘대덕(大德)’은 원나라 성종의 연호로 1300년(충렬왕 26)에 해당한다. 또한 ‘향수사
(香水寺)’는 사찰 이름으로 추정되며, 유적의 입지나 출토유물의 양상을 고려하면 불교사찰 유적으로
판단되고 있다. 지곶동 유적 2지점에서 건물지와 함께 부속시설이 확인되었는데, 건물지에서 청동제
73)
소탑(小塔)이 출토되었다. 때문에 이 유적은 불전지와 회랑을 갖춘 불교유적으로 파악되었다. 1960
년대 지곶동 산 219번지(당시 주소)에서 금동보살입상이 발견되었음을 참고할 때, 지곶동과 석산을
중심으로 한 이 일대는 일정 규모의 불교유적이 상존했을 가능성이 높다. 향후 발굴조사를 통해 더
많은 유적이 확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불교유적으로는 고려 초에 창건된 지곶동
보적사(寶積寺, 향토유적 8호)가 있다.
68) 한양문화재연구원, 2018, 『烏山 外三美洞 遺蹟 : 오산 외삼미동 도시관리계획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69) 서해문화재연구원, 2015, 『오산 내삼미동 유적 : 경기도 오산시 내삼미동 275-4번지 내 문화재 시·발굴조사 보고서』.
70) 기전문화재연구원, 2006, 『烏山 水淸洞遺蹟 : 우미아파트 건설에 따른 발굴조사 보고서』.
71) 겨레문화유산연구원, 2013, 『오산 청학동 유적 : 오산 세교 2지구 택지개발지구 내 6~9지점 시 ·발굴조사 보고서』.
72) 京畿文化財硏究院, 2008, 『烏山 佳長洞 遺蹟 : 가장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시·발굴조사보고서』.
73) 京畿文化財硏究院, 2008, 『烏山 佳長洞 遺蹟 : 가장 지방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시·발굴조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