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 - 65_u.1
P. 2
Unit 1 Chernobyl

Background Knowledge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

1986 년 4 월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원전사고로 막대한 인적, 물적, 환경적 피해가 발생
했고 그 후유증은 아직도 크게 남아있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는 원전 내 4 개 원자로 중 4 호기에서
발생했으며 총피해액은 1 천 3 백억 미국달러 이상
으로 추산되며, 우크라이나 정부는 매년 정부예
산을 체르노빌 피해 복구에 투입하고 있다.

1. 피해 내역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원전을 중심으로 반경 30 ㎞이내 지역 100 개 마을이 거주 불능 지역 및 사용 불가능 지역으로
선포되었다. 이 마을들은 폐허화되었고 현재 특별 관리 중이다. 또 원근 12 개 주 2000 개 마을에도 방사능 피해가 발
생했으며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수는 총 3 백만 명 이상인 것으로 추산된다. 체르노빌 사고 관련 정부의 각
종 보상수혜자는 어린이 66 만 명을 포함해 총 150 만 명이다.

2. 사고 발생 직후 수년간 국민 보건상의 후유증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인해 1988 년 출산율이 1986 년 대비 30% 감소했다. 이 사고로 인해 기형아를 출산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 심리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또 같은 이유로 이 시기 인공 유산율도 급증했다. 실제로 이 시기 기형아
출산과 출생 전 사망이 두 배로 증가하였다. 또 유아 사망률은 1.5~2.5 배 증가하였고 암 발생률이 급증했는데 특히 어
린이 암환자가 6.5~10 배 증가했다. 피해 지역 주민 60%가 갑상선계 질병을 경험했다.

3. 국제적 지원
체르노빌 원전 사고가 발생하자 G7(Conference of Ministers and Governors of the Group of Seven)과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은 1995 년 양해각서(MOU, memorandum of understanding)를 발표해 체르노빌 원전 폐쇄에 따른
대체 원전 건설비용, 체르노빌 사고 당시 안전시설 공사비 지원 등을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자금 지원은 지연
상태이다. 우크라이나는 2000 년 12 월 체르노빌 원전을 완전 폐쇄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2003 년 4 월에 공개한 전 국가보안위원회 비밀 문서에 따르면 1986 년 사고 이전부터 원자로에 결
함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들 문서에는 1982 년에도 사고가 발생해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에 방사능이 유출
된 적이 있었음을 밝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유고슬라비아에서 제작된 체르노빌 발전소 원자로 부품에 결함이 있었으며, 1982 년 방사능 누출 사고 후 전문가
들은 사고가 재발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2011 년 4 월 체르노빌 원전사고 25 주년을 추모하
는 행사가 키예프에서 열렸다.

2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