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데이터과학 무엇을 하는가? 전자책
P. 20
융 회사와 유통 회사들의 은 인수 합 과 광활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자체
적으로 빅데이터 처리가 어렵거나 외부 상용 데이터와 통합이 필요한 회사들이
액시엄의 주 고객이 되었고, 고객 회사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통합이나 통계 모
형 개발 및 비즈니스 캠페인을 작업하며 자연스럽게 빅데이터 활용 과정에 참여
하게 된 것이다. 액시엄은 내게 빅데이터를 련시 산 교육의 장소였다.
한국의 빅데이터와 데이터 과학
액시엄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아왔을 때, 한국 IT는 한창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 바람이 불고 간 자락이었고, 많은 회사가 CRM을 활용
한 수익 창출을 고민하던 무렵이었다. 한국에 액시엄과 같은 수익 모델에 대한
개념이 서 있지 않은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거라곤 데이터 마이 뿐이었다.
대형 글로벌 IT컨설팅 회사의 요구로 몇 개의 통계 모형이 개발되어 있었지
만, 주기적인 업데이트 없이 활용 방안은 아직 모색
▶데이터 마이 은 데이터베
이스 내에서 차 , 유사 중인 단계였다. 게다가 전사 활용 전략도 미비한 상
성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의
미 있는 지식을 아내는 과 태에서 S/W 하나 마련하듯 투자한 CRM 활용은 수익
정을 한다. 게 해 데
창출로 연결되기 쉽지 않은 구조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터 마이 은 데이터베이스
속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통계 모형 업데이트와 부분적
해 내는 을 한다.
추가 판매(Cross sell / Up sell), 캠페인 테스트와 우수
고객 관리 프로그 정도였는데, 통계 모형을 업데이트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 데이터를 전산실에서 받아와 작업했는데, 전산실 작업에만 2주 이
상 걸 고 데이터의 품질을 테스트할 방법은 전 없어, 겨받은 데이터가 정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