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6 - Interview Book(KOR)-2025-01
P. 156
허겸:
동의합니다. 국무부가 이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것은 큰 문제입니다.
Grant Newsham:
2022년 대선에서 윤 대통령이 초반에는 상당히 앞서 있었지만, 투표가 진행되면서 점점
격차가 줄어들고 결국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습니다. 이 현상을 어떻게 보십니까?
허겸:
이는 통계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결과입니다.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결과 사이의 엄청난
차이는 대수의 법칙이나 통계적 원칙을 위반하는 사례입니다. 1,300여 개의 투표소에서
동시에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인위적인 외부 개입 없이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Grant Newsham:
일반적으로 민주당 지지자들은 사전투표를 선호하고,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당일투표를
선호한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허겸:
그 설명으로는 부족합니다. 만약 민주당 지지자 10명 중 6명이 사전투표를 한다면,
당일투표에서는 반대로 국민의힘 지지자가 60% 이상 나와야 통계적으로 균형이
맞습니다. 하지만 실제 결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Grant Newsham:
맞습니다. 통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차이가 정상적이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정직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허겸:
동의합니다. 선거 시스템의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Grant Newsham:
선거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면 국가는 내부적으로 분열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매우 중요합니다.
허겸:
한국의 선거 부정 문제는 단순한 사건이 아닙니다. 체계적으로 오래된 문제입니다. 특히,
미디어와 노조가 관련된 사례는 매우 심각합니다.
Grant Newsham:
미디어와 노조, 특히 KCTU와 북한 간의 연관성은 더 깊이 다뤄져야 할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 문제를 조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