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 Interview Book(KOR)-2025-01
P. 152
14. 한국의 선거 부정과 미디어의 역할: 민주주의의 위기
l 인터뷰 일자: 2024년 7월 19일, 금요일
l 인터뷰 참여자: 허겸 스카이데일리 기자
요약:
허겸 기자는 한국의 선거 부정 문제와 이를 다루는 미디어의 편향성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미디어와 노조, 특히 민주노총(KCTU) 산하 언론노조의 편향적
보도가 선거 부정 문제를 은폐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국의
개입 가능성과 선거 시스템의 취약성에 대해 경고하며, 투명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1. 한국 미디어의 침묵
l 주류 언론의 편향성: 보수 매체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언론은 선거 부정
문제를 철저히 외면.
l 민주노총의 영향력: 민주노총 산하 언론노조가 정치적 이념에 따라 편향적인
기사를 작성하며, 공영방송 KBS 또한 좌편향된 보도를 지속.
2. 선거 부정의 구체적 사례
l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간의 비정상적 차이: 1,300여 개의 투표소에서 동일하게
발생한 차이는 대수의 법칙을 위배하며, 인위적 조작 가능성을 암시.
l 통계적 설명의 불가능성: 사전투표에서 특정 정당이 과도하게 앞서는 결과가
반복적으로 나타남.
l KBS의 침묵: 국가감사원의 선거관리위원회(NEC) 불법 채용 발표와 같은 주요
사안을 다루지 않음.
3. 중국의 개입 가능성
l 선거 시스템의 취약성: 한국의 선거 관리 시스템이 외부 공격, 특히 중국의 개입에
매우 취약.
l 중국의 영향력 확대: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중국이 선거 결과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