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전시가이드2025년 09월 이북용
P. 108
News
제 33회 대한민국기독교미술대전
제 12회 정선풍경 미술대전
정선문화원 주최, 강 한국미술인선교회에서 주최하는 제 33회 대한민
원도, 정선군, 한국미 국기독교미술대전이 9월 1일까지 인사동 마루아
술협회 강원도 지회
후원으로로 열리는 이 트센터 특별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는 '골든
번 공모전은 정선의 십자가상' 수상작가 3인의 개인 부스전과 믿음과
자연 경관 또는 지역 창의로 표현된 특선 22점, 입선 52점의 회화 및
의 정경이나 상황(삶 조형 예술 작품들이 소개되며, 아울러 2, 3, 4관
의 현장) 등 자유로운 에서는 한국미술인선교회 117명의 작가가 참여
주제로 작품을 통해
정선이라는 것을 인지 하는 제17회 한국미술인선교회전이 함께 진행된
할 수 있는 작품을 공 다. 신앙과 삶이 담긴 작가들의 깊은 고백을 통해
모한다. 공모부문은 평면(한국화, 서양화)로 접수 하나님의 진리가 감동으로 전해지길 소망한다.
는 9월 1일부터 8일까지이다, (T.010-3827-5737)
(T.033-562-5471-2)
제 13회 대한황실 공예대전
황실문화재단에서는 황 까지 그려진 시왕도 중 10폭을 모두 갖춘 것은 이 작
실 미술의 개념 정립, 응 제9회 전국세종한글 디자인 공모전 품을 포함하여 단 2건뿐으로, 이번 입수로 국내에서
용 및 확산 보급을 통하 한글의 디자인적 가치와 우 귀중한 사례를 볼 수 있게 되었다. (T.02-2077-9237)
여 고조선부터 대한제국 수성을 알리고 전국 우수 한
에 이르기까지 모든 왕조 글작가 발굴 및 한글문화상 서울부터 제주까지, 민속문화 이야기
에서 정통 왕실의 미술을 품 개발 관광상품화, 한글작 국립민속박물관(관
계승 발전하고자, 2025 품 전시 및 한글문화관광 콘 장 장상훈)은 지역
년도 공모전을 개최한다. 텐츠를 개발하고자 공모전 민속조사의 결과물
출품부문은 정통황실공 을 개최한다. 공모부문은 공 인 『2024년 국립
예의 6개 부문으로 황실 예한글디자인(도자, 한지, 금
회화, 황실섬유공예, 황실금속공예, 황실목칠공예, 속(조형, 장신구, 주얼리)), 목 민속박물관 권역별
자유주제 민속조사
황실도자공예, 황실한지공예로 궁과 궐에 장식하 공, 서각, 유리, 가죽, 나전, 옻 보고서』를 발간했
던 궁중 화풍의 주제와 양식으로 궁중에 어울리는 칠, 섬유(텍스타일디자인포함), 시각한글디자인(타이 다. 박물관은 시대
작품이여야 하고, 타공모전 미수상작을 원칙으로 포그라피디자인(타입페이스글꼴(폰트), 멋글씨(캘리 와 지역에 따라 변화되어 전승되는 전통문화를 기록
한다. 작품규격은 평면 133×97cm 이내(60호, 의 그라피), 한글활용 포스터), 캐릭터, 회화, 민화(한글문 해 널리 알리고, 민속 연구의 진흥과 연구자의 연구 활
상은 제외) 혹은 화선지는 백색 전지, 국전지(병풍 자도), 영상 등, 문화상품한글디자인(한글디자인을 접 동 지원을 위해 매년 ‘자유주제 민속조사 과제’를 선정
불가), 입체 : 150×110×150cm 이내로 접수는 9월 목한 판매목적 문화상품으로 기능성, 실용성, 상품화 해 민속 현장을 탐구하고 있다. 제주 굿에서 음식은 어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이다. 개발과 생산이 용이한 상품,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상 떤 의미일까? 심방(무당)은 굿판을 둘러싼 여러 잡신
(www.webhard.co.kr, 품으로 접수는 9월 5일부터 6일까지이다 까지 하나하나 불러내 굿상에 가득 쌓인 음식을 먹이
ID : m2822 / PW : 2822 (T.031-883-3088)
고, 굿판에 참석한 사람들은 저마다 음식을 준비해 서
(접수 후 전화확인 요망 T.063-231-5280)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환수 조선 전기‘시왕도’를 로에게 권한다. 제주 해녀굿을 처음 본 연구자의 마음
만나다 한 가운데에 자리했던 것은 굿판을 풍성하게 하고 서
아트챌린저 신진작가 공모전 로를 보듬는 열기어린 마음이 고스란히 담긴, 산 자와
세계미술작가교류협회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 죽은 자를 모두 잘 먹여 보낼 굿판의 음식이었다. 서
주관으로 13주년 아트챌 홍준)은 8월 1일부터 31 울 구석구석 산비탈 집과 골목이 철거되며 달동네라
린저 신진작가 공모전을 일까지 용산 개관 20주 불렸던 마을은 수십층 아파트 촌으로 변해갔다. 수십
개최한다. “아트챌린저” 년 기념 특별전 <새 나라 년 전 도심 개발에 따라 서울 변두리의 산 자락으로 밀
는 역량있는 신진작가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려났던 철거민들은 또 다시 살 곳을 찾아야 한다. 이들
발굴하는 등용문으로 공 대전>에서 새로 환수된 이 살아가는 이야기가 또 하나의 기록이 되었다.
모주제는 창의력과 독창 ‘시왕도’ 10점 중 3점을 (T.02-3704-3205)
성 있는 작품으로 자유로 공개했다.‘ 시왕도’는 올
운 작품으로 작품규격은 해 초 국가유산청과 국 2026 상반기 현대 미술 작가 공모
평면 30호이내(유리액자 외소재문화유산재단이
사용불가), 입체 100×100×100cm 이하로 좌대 해외에서 환수한 뒤 국 CICA 미
술관에
설치가 가능한 작품이면 된다. 공모부문은 평면(한 립중앙박물관이 보관 중 서 현대
국화, 민화, 서양화, 수채화, 판화, 일러스트, 드로 인 작품으로, 앞으로 조사와 연구, 전시를 통해 관람객 작가를
잉, 캘리그래피)과 입체(조각, 현대공예, 전통공예, 에게 선보였다. 시왕(十王)은 사람이 죽은 뒤 저승에서 선정하
자유 창작물), 디자인(디자인아트, AI를 응용한 작 차례로 만난다고 믿어진 열 명의 왕이다. 우리나라에 여 개인
품) 부문으로 작품 접수는 10월 4일가지 웹하드아 서는 고려시대부터 사람이 죽은 지 7일째부터 3년까 전 시리
이디 : waia24 / 비밀번호 2025) 게스트 들어가서 지 열 명의 왕을 차례로 만나 죄의 심판을 받는다는 믿 즈 및 영
“2025 아트챌린저”폴더에 본인이름 생성 후 업로 음이 성행했다. 조선 전기까지는 지장보살과 함께 한 문 서적 출판을 통해 국제 무대에 소개하는 기회를 마
드하면 된다. 폭에 그려진 경우가 많았으며, 시왕을 10폭에 나눠 그
린 예는 아주 드물다. 이번에 선보이는 ‘시왕도’는 조 련하고자 한다. 모집분야는 회화, 사진, 조각 및 인스톨
선 전기 16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한 폭에 한 명의 왕 레이션, 퍼포먼스, 뉴미디어이며 접수는 9월 5일까지
을 그려 총 10폭으로 이루어진 완질본이다. 조선 전기 이다. (T.031-988-6363)
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