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 샘가 2023. 9-10
P. 141
본문살피기
본문은 "쉐마 이스라엘"로 선민 이스라엘에게 주신 축복의 말씀입니다.
너희에게 가르치라고 명하신 명령과 규례와 법도라(1-3) 모세가 아라바 광야에서 백성
에게 설교할 당시의 상황을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이스라엘 백성이
40년의 광야생활을 마감하는 상황입니다. 출애굽을 통하여 자유를 얻었지만 가나안
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척박한 땅 광야에서 40년을 보냈습니다. 하나님께서 직접 내
려주신 만나와 메추라기로 기본적인 삶은 살았지만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
었습니다. 이러한 광야에서의 삶을 마감하기 직전입니다. 또 하나는 온갖 우상을 숭
배하고 음란한 삶을 사는 가나안 토착민들을 만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은 기회이자 동시에 위기이었습니다. 때문에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을 다시금
상기시킵니다(1). 이 명령대로 살면 자손 대대로 축복을 누리고 크게 번성하게 된다
고 하였습니다.
이스라엘아 들으라(4-9) 본문의 "들으라"는 히브리어로 쉐마입니다. 통상 4-6절까
지를 쉐마라고 합니다. 예수께서도 가장 큰 계명이 무엇인가를 물을 때 쉐마의 첫
부분을 말씀하여 쉐마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마 22:34-40). 미국 코헨대학교
총장 게리코헨 박사의 제자 김형종 교수가 있습니다. 그가 저술한 「테필린」에 쉐마
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세밀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쉐마의 핵심은 3가지입니다.
첫째 "들으라"입니다. 이 말은 명령어로 듣고 순종하라는 것입니다. 둘째 "유일하신
하나님 여호와를 굳게 믿고 고백하라"는 것입니다. 셋째 "하나님을 사랑하라"입니
다. 사랑하는 방법은 그분의 말씀대로 사는 것으로 먼저 쉐마를 자신의 마음에 새기
고(6) 다음에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강론(講論)하고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고,
이마에 붙여 표로 삼고, 집의 문에 기록하라고 했습니다. 손목에 맨다는 것은 말씀
을 행동지침으로 삼으라는 것이고, 이마에 붙이는 것은 생각을 말씀과 일치시키는
것이고, 문에 붙이는 것은 집에 들어가고 나갈 때마다 보라는 것입니다. 코헨 박사
는 아론의 147대 직계 후손으로 신실한 크리스천입니다.
적용: 당신은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와 법도의 시작인 쉐마를 알고 있나요? 당신은
하나님의 명령인 쉐마를 실천하며 살고 있나요?
성경의 선언대로 여호와 하나님은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십니다. 진실 또는 참이라는 말은 꾸밈이
나 거짓이 없다는 말입니다. 영문 편지 끝에 "진실한 당신의 친구" 아무개로부터 라고 할 때 "진실
한"(sincere)이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대리석 조각품이 땜질하지 않은 것 즉,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순수한 것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내 언약을 깨뜨리지 아니하고 내 입술에서 낸 것은 변하지 아
니하리로다"(시 89:34) 하나님은 거짓말 하지 않으시고 약속하신 것은 반드시 지키시는 진실하신 분이
십니다.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