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 샘가 2023. 9-10
P. 143
본문살피기
본문은 앞장에서 언급한 축복의 말씀을 잊어버리고 불순종하면 징계를 하신다는
경고의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랑하는 자를 징계하십니다(히 12:5-11).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를 시험하지 말라(10-19) 모세는 쉐마를 잘 지켜 행하면 너희가
건축하지 아니한 큰 성읍을 얻고 아름다운 물건이 가득한 집에서 살고, 심지도 아니
한 포도원을 차지하게 되어 배불리 먹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10-11). 그런 축복을
받을 때에 조심하여 하나님을 잊지 말라고 했습니다(12). 무엇보다도 우상을 섬기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우상을 섬기면 질투하시는 하나님께서 지면에서 멸절(滅絶)시켜
버리겠다고 경고하셨습니다. 또한 맛사에서 시험한 것 같이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
를 시험하지 말라고 했는데, 맛사 사건은 광야를 지나가던 중 물이 부족하자 불평하
며 모세와 아론을 대적한 사건입니다(출 17:1-7).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바위
에서 물이 터져 나오는 기적을 보여 주시고 그곳의 이름을 맛사 혹은 므리바라고 부
르게 하셨습니다. 맛사는 유혹, 시험이란 뜻이고, 므리바는 투쟁 또는 싸움이란 뜻
입니다.
무슨 뜻이냐 하거든(20-25) 훗날 너희 자녀들이 여호와의 명령하신 증거와 규례와
법도를 왜 철저히 지켜야 하는지를 물을 것이니 그때 꼭 이렇게 대답하라는 말씀입
니다. 우선 명령과 규례와 법도를 누가 우리에게 주었느냐고 물으면 옛적 애굽에서
종살이할 때 우리를 구원하여 약속의 땅 가나안에 들어오게 하신 분은 하나님이시
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라고 했습니다(21). 아울러 24절에 명령과 규례를 주신 것은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여 항상 복을 누리게 하기 위함임을 가르치라고 하였습니
다. "의로움"은 히브리어로 '쩨다카'입니다(25). 유태인들은 이 단어를 자선(慈善)이
라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이는 자선은 공의의 차원에서 해야 할 의무라고 믿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유태인들은 이 단어를 번영으로도 사용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계
명을 잘 지키면 번창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통을 신약에까지 이어져 야고보 사
도는 다음같이 기록했습니다. "하나님 아버지 앞에서 정결하고 더러움이 없는 경건
은 곧 고아와 과부를 그 환난 중에 돌보고 또 자기를 지켜 세속에 물들지 아니하는
그것이니라"(약 1:27)
적용: 당신은 이스라엘 백성처럼 하나님을 의심하며 시험한 적이 있나요? 당신은
자녀들에게 하나님의 증거와 규례와 법도를 가르치고 있나요?
"나는 정말로 중요하게 여기는 일에 실패하는 걸 두려워했다. 하지만 지금은 하찮은 일에 성공하는 걸
더 두려워한다."(Bob Goff) 실패는 과정의 일부입니다. 실패해도 괜찮은 게 아니라 괜찮은 것 그 이상입
니다. 하나님은 실패를 끝이라고 하지 않으십니다. 우리에겐 삼진 아웃 따위는 없습니다. 우리는 먼지를
툭툭 털고 다시 담장을 향해 방망이를 휘두를 수 있습니다. 그 분은 우리의 실패를 기록하지 않습니다.
전광판은 늘 노 스트라이크, 노 볼입니다.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