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전시가이드 2023년 06월 이북
P. 53

전시  보도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전시   보도 자료는   cr ar t1004@hanmail.ne t  문의 0 10-6313- 2 7 4 7 (이문자 편집장)









































                                                                          우리나라의 공작새는 대부분 인도공작새이다.
                                                                          특히 수컷 공작새는 자신의 존재를 세련된 몸짓을 통
                                                                          해 표현되는 침착함, 우아함 및 장엄한 태도를 가지
                                                                          고 있다. 이 장엄한 공작새는 자신감, 자부심, 존엄성
                                                                          및 자기 확신을 상징하며, 겸손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주기도 한다.
                                                                          공작은 자부심, 부와 왕족, 번영, 풍요를 상징한다. 화
                                                                          려한 깃털을 가지고 번식에 집중해서 진화된 수컷은
                                                                          다윈의 "종의 기원에서 생존의 성선택Sexual Selec-
                                                                          tion에 의한 자연선택이다.

                                     황실의 빛_공작을 품다||  62×40cm  화선지에 은분  2022

            정혜성의 회화는 불교의 종교적, 문화적 전통에 영향을 받은 전통채색화로,        불교의 균형, 조화 및 조화의 가치를 나타내며, 불교의 깊은 명상의 상태를 나
            불교의 가르침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비단에 아교를 사용하는 전        타내기도 하는 비례와 대칭은 정혜성의 회화에서 잘 나타난다. 그녀의 작품에
            통기법을 활용하며, 고려 불화를 전승하고 보존하려 노력하는 작가이다. 대        서 이러한 비례와 대칭은 매우 정교하게 그려지며, 그 아름다움과 질서는 불
            부분의 불화가 그러하듯, 정혜성의 회화는 복잡한 기호나 상징을 사용하여 불       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인 형이상학적인 개념과 함께 연결되어 있다.
            교의 중요한 개념을 전달하며, 강렬하고 섬세한 색채를 사용하여 불교의 가르
            침, 감정 및 영적 경험을 표현해낸다.                           작가는 고려 불화와 왕실그림, 현대문인화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회화로서
                                                            의 아름다움 뿐 아니라 “안락과 고난을 구제해주기 바라는 현세 신앙으로
            작가 정혜성은 복잡하고 다양한 기호와 상징을 그림속에 담는다. 순수함과         서” 불교의 가르침에 기초한 인간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지혜
            깨달음을 상징하는 연꽃에서부터 우주와 만물의 연결성을 상징하는 만다라          를 표현한다.
            에 이르기까지 정혜성의 회화는 불교 미술을 바탕으로 한 심오한 영적 진리
            를 전달하려는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 그녀의 회화에 사용된 화려하고 생        정혜성의 섬세한 기법과 아름다운 색감을 통해 역사의 가르침과 가치를 깨닫
            동감 있는 색들은 불화의 또다른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생생한 색들        고, 그들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느껴보시길 바란다. 그녀의 작업을 통해 불교
            은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고요함과 내면의 평화를 이루어 냄으로써 영적 경         예술을 더욱 폭넓게 이해하고, 예술과 종교, 그리고 삶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
            험을 하게한다.                                        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51
                                                                                                       51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