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이정민 초대전 2025. 6. 1 - 7. 31 콩세유미술관
P. 5

이미 작가의 작품 속 이미지에서 보봉이의 동심은 관객들에게 인지될 때까지의 과정은 매우 다양하고 상징적 상상으로
                  구현되어 있어 작품을 보는 이의 지적 호기심마저 효과적으로 지속시킨다. 작품 속에서 다양한 캐릭터들과의 공존과 평
                  등, 그리고 행복이 배양되는 환경 등, 자못 그동안 현대인이 잊었던 가장 중요한 가치를 내면의 동심 속에 있음을 이번 작
                  품들 속에서 주장하고 구체화하고 있다.


                                                즉, 보봉이를 성장시키는 상상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어가는 다양한 성격과 개성
                                                에 의해 동심을 다시 회복하고 확장하며 동심으로부터 현대인의 행복을 다시 일
                                                깨우고, 상상 속의 공존만으로도 작가의 의도는 충분히 모든 이에게 공감은 물론
                                                재미마저 제공하는 것이다. 캐릭터의 특성을 체계화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상징적 이미지에 개성이나 성격을 삽입하여 친근한 요소로 작가의 철학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이정민 작가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보봉이의 성격과 그 환경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가? 보봉이는 환
                  경을 언제나 공유하면서 스스로 그 환경과 동화되기도 하며, 유니콘, 고양이나 양
                  과 같은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모습으로 꽃들과 별들과의 대화하기 위해 동화
                  하면서 서로 의지하고 행복을 발산하며 스스로가 사랑의 꽃이 되기도 하며 평화
                  와 사랑을 전하는 모습으로 만물을 사랑하고 행복을 느끼게 만드는 상상과 실재
                  사이에서 교감하는 능력을 지닌 아이로 성장하고 있다.


                  결국 보봉이의 성격은 활달하면서 꿈 많은 소녀로 교감 능력이 뛰어난 박애주의자이자 평등주의자이며, 가치관은 오로지
                  만물과의 교감을 통하여 상상만이 아니라 실재에서도 만물과 공존하며 사랑을 나누는 세상으로 행복 지수가 높은 세상
                  을 꿈꾸고 있다.


                  이러한 보봉이의 탄생은 이정민 작가에게 캐릭터를 통하여 현대 예술 속에 나타나는 캐릭터를 통찰하고 그 기능과 특성
                  을 회화적으로 조형하며, 작품 속에 농축하여 관객과 함께 공감하며 그 성장 과정을 계속 그려내고자 의도의 시작이다.
                  앞으로 보봉이의 성장 환경에 따라 그 성격과 개성이 그려내는 이야기를 이정민 작가의 시각에서만 아니라 관객으로도
                  동참하며 함께 지켜보는 것은 참으로 즐거운 기회가 될 것이다. 결국 영원한 사랑과 행복을 공감할 수 있도록 무한한 상
                  상과 창작의 열정으로 새로운 세계를 구현하는 이정민 작가의 상상적 환경 속에서 자라나는 보봉이의 성격과 역할, 그리
                  고 그 성장을 통하여 작가가 제시하고자 하는 세상을 앞으로도 함께 지켜보며 자신의 동심을 투영해 보는 일은 진정 우리
                  에게도 행복과 공감을 주며 상당한 매력으로 무한히 다가오길 기대한다.







                                                                         - 한국영상문학협회 회장 / 시인 / 화림  이 세 종



                                                                                                                 3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