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샘가 2022년 11-12월
P. 13

하박국



            저자
            하박국(1:1)이다. 그는 레위인이며 성전 선지자로서(역대상 25:1) 성전을 중심으로 한 사역을 하였는
            데 주로 7줄 수금과 하프, 그리고 징(심벌)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음악인으로 활동했다. 랍비 전통에 의
            하면 하박국은 수넴 여인의 죽은 아들로서 엘리사가 살린 아들(왕하 4:16)로 여긴다. '하박국'의 의미는
            "포옹하다"라는 뜻이며 하박국은 하나님과 자기 민족을 포용했다.

            저작연대와 배경
            주전 610-605년 즈음으로 본다. 유다의 예루살렘이 바벨론에 의해 정복되기 얼마 전으로 본다. 이 기
            간은 갈대아 제국(Chaldeans, 신 바벨론제국 주전 626-539년, 합 1:6-11) 시대이며 하박국이 이즈음
            에 어디서 살았으며 어떤 메시지를 전했는지에 대하여는 알려진 자료가 없다. 다른 자료에서는 여호와
            김의 통치기간(주전 609-598년)을 말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이 기간 동안에 바벨론이 크게 성장하
            여 세계 권력의 정상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므깃도 전쟁의 결과일 것이다.
            므깃도 전쟁은 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가 주전 612년에 신흥 바벨론 제국에 의하여 격파되고 그 수도
            를 하란으로 옮겼으나 주전 610년에 바벨론에 의하여 하란이 다시 정복되자 아시리아는 갈그미스(유
            프러데스 강 지역)로 수도를 옮겼다. 이때 아시리아는 애굽에게 동맹을 요청해 바벨론에 대항했다. 아
            수르와 애굽은 갈그미스에서 아시리아를 도우려고 유다 지역 므깃도를 통과하려 했다(주전 609년). 이
            때 유다 왕 요시아가 그 길을 차단하고 애굽 군사와 전쟁(므깃도 전쟁)을 벌리다가 불행하게도 죽는다.
            그러나 이 갈그미스 전쟁에서 아시리아와 애굽 군대는 패망한다. 갈그미스 전쟁에서 승리한 바벨론은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호황을 누린다. 그때 하나님은 바벨론을 들어 유다를 심판하실 계획을 하신
            다. 하박국은 이 하나님의 계획을 알고 통탄의 노래를 지었다. 그것이 하박국 3장이다.

            핵심성구
            "...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합 2:4)

            내용분해
            1. 하박국의 첫 번째 호소 1:1-4
            2. 하나님의 응답 1:5-11
            3. 하박국의 두 번째 호소:12-2:1
            4. 하나님의 응답 2:2-20
            5. 하박국의 기도 3:1-19

            본서의 특징
            요시야 왕은 주전 640-609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왕위에 오르자 영적인 부흥을 일으켰다(주전 622
            년). 성전창고에서 발견된 율법책을 읽고 백성들에게 전했다.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회복시켰다(대
            하 34:14). 그러나 그의 통치 말기에 이르러서는 영성이 기울어진다. 결국 하나님은 심판의 칼을 빼신
            것이다. 한 나라의 개혁은 왕만이 아니라 지도자들과 백성들이 따라 주어야 한다. 그리고 역사는 기억
            되고 지켜져야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유다의 죄악을 벌하시기 위해 악한 바벨론을 사용했다. 그러
            나 여호와를 의지하는 사람을 절대적으로 지켜 주셨다. 놀랍게도 유다를 괴롭힌 나라는 하나하나 무너
            지고 결국 유다가 살아남아 여호와의 이름을 드러냈다. 하박국 1장과 2장은 사해 부근 쿰란지역에서
            발견된 두루마리 성경에서 발췌된 것이다. 하박국서의 내용은 신약의 기자들이 자주 인용했으며 현대
            크리스천의 CCM이나 기타 찬송 가사에 많이 인용되고 있다.

                                                                            1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