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전시가이드 2022년 08월호
P. 58
박진화 초대전 | 8. 4 – 8. 24 김우진, 전현자, 원지현전 | 8. 2 – 8. 28
잇다스페이스 | T.010-6890-3834 이영주 유작전 | 7. 30 – 9. 30 창의문뜰갤러리 | T.02-391-0012
석림아트센터 | T.031-882-6556
“어떤 여행”을 표제로 그는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세상과 삶을 사람들이 떠
나고 돌아오는 여정을 묻는다. 그가 우리와 함께 살아온 세상은 꽃 피우다
시들곤 하는 그리움 같은 기억과 연민을 갖게 만든다.
대한민국 50대 여성인 나는 어릴 적 햇 김우진(사진), 전현자, 원지현 작가의 작
볕 내리쬐는 골목길에 쪼그려 앉아 조약 품들을 관람하면서, 서로 다른 창작세계
돌과 이야기를 나눴다. 엄마의 손거울을 의 여름 여행 추억을 통해 하늘, 바다, 땅
방바닥에 눕혀 놓고 나와 똑 닮은 아이와 의 아름다운 감성의 컬러를 ‘SKY BLUE’
교신을 했다. 로 소통하고자 한다.
양재혁 개인전 | 7. 29 – 8. 4 An Unexpected Gift전 | 7. 27 – 8. 10
전북예술회관 | T.063-230-7400 최정아갤러리 | T.02-540-5584
원진숙 개인전 | 8. 1 – 8. 10
갤러리모나리자 산촌 | T.02-765-1114
제주돌담은 빈틈이 많아 쉽사리 무너져 회화와 조각, 사진 등 서로다른 장르의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격자무늬와 같은 사각 패치의 패턴으로 구성하는 퀼트(Guilt)의 소재로 천 김대수, 멜로디박, 박노을, 박지나, 장재
이는 바다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이 담 을 자르고(해체) 커다란 이미지로 재구성(접합)하는데, 벗겨진 나무의 껍질 철, 정진갑, 최은, 최지현 - 의 다양한 시
의 구멍들 사이로 새어나가게해 바람의 로 보이는 뒷면의 모서리를 일으켜 세워 3차원적인 구조를 만들어 자신만 각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풀어낸 예술을
세기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의 스타일로 완성한다. 한 자리에서 공유하고자 한다.
김태완전 | 8. 11 – 8. 16 즐거운 나의 집전 | 3. 25 – 9. 12
전북예술회관 | T.063-284-4445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 T.055-340-7006
나의 작업은 우리 삶의 현장 속에 있으며 하나의 주제 안에 기성작가와 신예작가
들풀처럼 우리 주변에서 항상 강한 생명 가 어우러진 6인 6색의 개성이 돋보이는
력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든 대상으로 일 옴니버스 형식으로 오늘날의 시대상에
상을 통하여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회 초점을 맞추어 집에 대한 다양한 스펙트
화적 언어로 표출하고자 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럼의 작품세계를 펼쳐 보인다.
정정엽 개인전 | 6. 14 – 8. 21 안지산 개인전 | 7. 14 – 8. 21 진영서 개인전 | 8. 17 – 8. 23 송영수: 영원한 인간전 | 5. 24 – 9. 12
전태일기념관 | T.02-318-0903 조현화랑 | T.051-747-8853 조형갤러리 | T.02-736-4804 포항시립미술관 | T.054-250-6023
정정엽은 인천의 노동현장에서 제작한 베일 듯한 구름은 화가의 팔과 어깨를 수 그는 원초적, 근원적 느낌을 추구하며, 철 조각의 원류를 살펴보고 그 예술적 가
노동판화, 동시대 우정을 그린 얼굴풍경, 차례 찌르며 허공에 비명을 지르고 있다. 그것의 표현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 그의 치를 정립하고자 마련되었다. 송영수한
민주주의 씨앗으로 발화된 팥과 콩, 노동 돌들은 말 없이 차갑고 무뚝뚝하다. 거친 작업이 경계를 넘어 어디까지 갈 수 있 국 현대조각사에서 철 용접 조각의 가능
의 손길을 느낄 수 최근작까지 노동의 시 나이프로 물감을 꾹꾹 눌러 묵묵히 쌓아 을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새로움을 찾아 성을 모색하며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구
각을 펼쳐보인다. 올린 것처럼 견고하다. 가는 그의 노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축한 1세대 추상 조각가이다.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