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3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23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 시조정립기(始祖正立記)
<시조정립경과(始祖正立經過)>
1) 보학연구위원회구성(譜學硏究委員會構成)의 목적(目的)
① 목적(目的)
본(本) 위원회(委員會)는 휘(諱) 추(錘) 삼척군(三陟君)으로부터 이어져 온 종족
(宗族)의 정체성(正體性)을 확립(確立)하고, 역사적(歷史的), 학문적(學問的), 문화
적(文化的) 자료(資料)를 발굴(發掘) 고증(考證)하여 본(本) 종중(宗中)의 위상(位
相)을 선양(宣揚)함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② 경순대왕(敬順大王) 제8자(第八子) 휘(諱) 추(錘) 삼척군(三陟君)을 시조
(始祖)로 정립(正立)
○ 우리족보 제1회차 을묘보(乙卯譜)부터 제8회차 임술보(壬戌譜)에 이르기까
지 회차별로 다르게 휘(諱) 추(錘)의 군호(君號)를 일선군(一善君) 또는 삼
척군(三陟君) 삼척김씨(三陟金氏)로 하고 시조(始祖)는 휘(諱) 추(錘)의 아
들 실직군왕(悉直郡王) 휘(諱) 위옹(渭翁)을 시조(始祖)로 한데 있다.
○ 여기에 타 성씨인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 9세손(九世孫) 좌복사(左僕射)
김한충(金漢忠)의 후손종중(宗中) 선산김씨(善山金氏)가 1986년 경순왕 제팔
자(第八子) 휘(諱) 추(錘)공을 시조(始祖)로 하고 장자(長子)에 천(遷) 차자(次
子)에 위옹(渭翁) 삼자(三子)에 우(佑)로 하는 족보(族譜)를 발행하다.
○ 이제 우리 삼척김씨(三陟金氏)에 대한 계통(系統) 특히 휘(諱) 추(錘)公의 군호
(君號)를 고증(考證)하여 시조(始祖)를 바로 세워 정립(正立)하는데 있다.
③ 위원회 구성(委員會 構成) 7인
위원장 김진한(金鎭翰) 위 원 김원준(金源竣) 위 원 김호찬(金鎬燦)
위 원 김원병(金源秉) 위 원 김정하(金正河) 위 원 김중영(金仲榮)
위 원 김형순(金炯淳)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