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3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53

年度
                     (西紀)    干支     王歷                            主要事項                              備考

                                            진품(眞品)은  삼척시립박물관에  보존하고  가품(假品)을  보본
                                            단운한각(報本壇雲漢閣)에 보존 전시하고 있다.
                                            이  홍서대는  황명홍무(皇明洪武)  계유년(癸酉年  태조2년  1393
                                            년)에 태조대왕(太祖大王)께서 삼척부사에게 하사하였는데 1754
                                            년 부사 이협(李埉)이 찾아내 부중(府中)에 보관 했었다.

                                    이조         경주김씨 태사공파대동보(慶州金氏 太師公派大同譜)
                                    정조
                             갑진      8년
                      1784년
                             甲辰     (李朝     경순왕 자 추 삼척군 삼척김씨 시조
                                    正祖
                                    八年)     (敬順王 子 錘 三陟君 三陟金氏 始祖)

                                                         삼척김씨 세보(三陟金氏 世譜)

                                    이조
                                            제1차(第一次) 을묘보(乙卯譜)
                                    정조
                             을묘     19년     보서(譜序)
                      1795년
                             乙卯     (李朝
                                             김알지(金閼智)-시조(始祖)
                                    正祖
                                   十九年)      휘(諱) 추(錘)-29世 봉일선군(封一善君)
                                             휘(諱) 위옹(渭翁)-30世 봉삼척기자손종지시위삼척김씨
                                                                   (封三陟其子孫宗之是爲三陟金氏)

                                                         추원제 중수기(追遠齊 重修記)


                                    이조       추원(追遠)의 뜻 : 먼 조상을 추모한다.
                                    순조       <요약(要約)>  추원제(追遠齊)  설치한  것이  지금  일백여성상(星
                             갑자      1년
                      1804년                             霜)이 되어 허물어져 제향(祭享)올리는데 늘어설
                             甲子     (李朝
                                    純祖                  수가 없게 되었다.
                                    一年)      참고로  일백여년은  단기4253년  1720년  경자  숙종(肅宗)
                                             46年 제단 제사창건 때를 말한다.

                                             후손 원익(源益) 근기(謹記)하다.

                                                   양릉(兩陵) 실전(失傳) 시초확인(始初確認)
                                                     기록 오정처사공행장(梧亭處士公行狀)
                                    이조
                                    헌종      <요약(要約)> 공의 諱는 흥일(興一)자(字)는 인칙(仁則)                      기축보
                             무술      3년               오정(梧亭)은 호(號)이다.                               1권
                      1838년
                             戊戌     (李朝   ▪실직군왕묘역(墓域)이 실전                                           121~
                                                                                                    126쪽
                                    憲宗       ▪족형(族兄)학조(學祚)와 논의
                                    三年)
                                             ▪이부사(李府使)의 허락을 받아 제사(祭祀)를 지내고
                                               산(山)을 파헤쳐 지석(誌石)은 찾지 못하였다.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53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