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1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71
그리고 조선조를 개국한 태조(太祖)이성계(李成桂)는 개국 2년(開國二年)에 고조부(高
祖父)인 이안사(李安社)와 비(妣)를 목조대왕(穆祖大王)과 효공왕후(孝恭王后)로 추존(追
尊)하였다. 목조대왕(穆祖大王)이 부모와 같이 효공왕후(孝恭王后)의 진외조부인 11세손
김인궤(金仁軌) 가문으로부터 보살핌을 받으면서 거주(居住)하였던 삼척군(三陟郡)을 부
(府)로 승격(昇格)시켰다. 고려조(高麗朝)에서 호군(護軍) 전객령(典客令) 전법총랑(典法摠
郞), 조현대부(朝顯大夫)를 역임(歷任)하였던 김인궤(金仁軌)를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
夫)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추봉(追封)하였다.
삼척시 미로면 노동에 있는 이성계의 5대 조부(祖父)인 이양무(李陽茂)의 묘(墓)와 미로
면 동산리에 있는 비(妣)의 묘(墓)에 매년 명절 시 참례(參禮)하여 제(祭)를 올릴 수 없으
므로 친히 사용하던 관복대(官服帶)인 홍서대(紅犀帶)를 삼척부사(三陟府使)에게 하사(下
賜)하였다. 부사(府使)로 하여금 홍서대(紅犀帶)를 착복대(着服帶)하여 제(祭)를 대행(代行)
케 하여 오다가 영조(英祖) 23년(1747년)에 왕명(王命)으로 홍서대(紅犀帶)는 삼척김씨(三
陟金氏) 보본단(報本壇) 경내(境內) 보대운한각(寶帶雲漢閣)에 소장(所藏)되어 있다.
또한 태종원년(太宗元年)(1400년)에 왕(王)의 전교(傳敎)로 신라 경순대왕(新羅 敬順大王)
의 후손(後孫)을 대대(代代)로 보살피고 그 자손(子孫)을 녹용(錄用)하여 비록 지서(枝庶)라
도 군보(軍保)에 정하지 말며 사태(沙汰)시 동원(動員)하지 말고 고강(考講)할 때 강례(講例)
에 들지 않도록 정녕(丁寧)하게 신칙(申飭)하시었다. 그 후에도 선조(宣祖:1567~1608년),
효종(孝宗:1649~1659년)왕 때도 같은 교지(敎旨)를 하였다고『김씨소원록(金氏溯源錄)』
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己丑大同譜, 三陟金氏홈페이지>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