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메타코칭 문해력 독해력 19호 어드밴스
        P. 16
     메타리딩 문해력•독해력                                                                    어드밴스 19호
                                  -  바른 자세로 몰입하여 읽는다
                     속해           -중심 단어 5개로 문장을 만들어 연결하여 줄거리를 만든다.
                                                    물의  오염
                  물은  우리  몸의  60~70%  이상을  차지하며  인체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항상  새로운
               물을  사용하면서  살아갑니다.  거의  모든  생물은  물  없이는  살  수가  없어요.  물은  생물의
               생활에 매우 중요한 환경 요인입니다.
                  그러나 산업의 발달 및 인구의 도시 집중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공장의 폐수와 생활하수,
               농약, 비료 등은 깨끗해야 할 우리 주변의 물을 오염시키고 있지요.
                  농약과 비료가 물에 씻겨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물속에 살고 있는 생물에게 해를 주기도
               합니다.  그  중에서  수은이나  납과  같은  중금속이나  농약은  일단  우리  몸  안에  들어오면
               분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몸  밖으로  잘  배설되지도  않고  그대로  쌓이게  되는데,  먹이
               연쇄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생물일수록 이와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흐르는  물에는  유기물이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어도  시간이  지나면  세균이  분해하여
               깨끗한  물로  변하는데,  이것을  하천의  ‘자정  작용’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세균이  분해할  수
               있는  한계를  넘을  정도로  유기물이  많으면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물속에  남아  있게  되어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세균이  물속의  오염  물질을  분해할  때,  물속에  있는  산소를  많이  사용하므로  산소가
               부족해져서  물고기를  비롯한  수중  동물은  차츰  사라지게  됩니다.  물속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면  산소가  없는  곳에서  살  수  있는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물에서  악취가  나고  여러  가지
               유독 물질이 생겨납니다.
                  수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대도시에 하수 처리장을 설치하고, 공장에는 정화 시설을 설치,
               가동하여 오염된 물이 직접 강에 들어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595자)
                                                                                            페이지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