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메타코칭 공토 2025-04 챌린지 해설지
P. 30
메타코칭 인지훈련 챌린지 2025-04
- 문단 별 핵심어와 연결되는 중요한 구절에 밑줄을 긋는다.
메타독해력 - 핵심어에 동그라미를 치고 핵심내용을 단어나 구절로 요약한다.
중부지방의 지형 특색
1두 차례의 혼란으로 큰 피해를 입은 조선은 정부나 백성 모두가 청에 대한 적대 감정과
복수심에 불탔다. 이에 청을 쳐서 원수를 갚아야 한다는 북벌론이 일어났다.
2특히, 청에 인질로 잡혀 있었던 효종은 북벌을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책 목표로 삼았다.
효종은 송시열, 이완 등과 함께 남한산성 및 북한산성을 수축하고 군대의 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나,
북벌을 실천에 옮기지는 못하였다. 이는, 청이 한족의 반발을 누르면서 중국에 대한 지배를 확고히
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3조선으로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한 청과의 관계 개선이 불가피하였고, 이에 따라 경제적, 문화적
교류도 빈번해졌다. 그런가 하면, 18세기 후반에는 청의 발달한 문화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었다.
4이 무렵, 만주 북부의 헤이룽 강 부근에 러시아가 침략해 오자, 청은 이를 물리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이에 조선은 두 차례에 걸쳐 조총 부대를 출병시켜 큰 전과를 올렸다.
이를 나선 정벌이라고 한다.
(389)
페이지 30